행동주의 사모펀드 KCGI가 20일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의 경영 기간을 비롯해 한진그룹의 총체적 경영 실패가 있었다”며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과 3자 연합이 집안싸움이 아닌 경영 정상화를 위한 것임을 강조했다.
강성부 KCGI 대표는 이날 여의도 한 호텔에서 연 ‘한진그룹 정상화를 위한 주주연합 기자간담회’에서 “경영인이 경영만 잘하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KCGI 활동이)사적인 영역으로 들어가 집안 내 싸움으로 변질되는 모습으로 많이 비치는데, 저희가 제시하는 회사의 장기적 미래와 비전에 대한 부분을 비중있게 봐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조 전 부사장의 경영 참여 여부에 대해서는 “주주들은 경영에 절대 나서지 않는다는 확약 내용이 있다. 주주들이 이사회에 나가지 못하도록 확실히 돼 있다”고 답했다.
주총에서 3자 연합이 승리하더라도 전문 경영인이 참여할 뿐 오너 일가 인 조 전 부사장이 경영에 개입하지는 않는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
이어 “주주연합은 회사의 발전과 효율 경영으로 가기 위해 어떻게 할 것이냐에 대해 화두를 던지는 역할”이라며 “언론 등에서 자꾸 ‘조현아 연합’이라고 하는데, 최대 주주인 우리(KCGI)가 자꾸 뒤로 빠지고 조현아 씨가 앞으로 나오는 부분에 약간 섭섭한 생각이 든다. ‘주주연합’으로 불러 달라”고 말했다.
또 조원태 회장에 관해 “미국의 델타항공이 (한진칼 지분 취득으로) 들어오고 나서 더 기고만장해졌다”며 “조 회장이 ‘KCGI는 대주주일 뿐’이라고 말하는 등 주주들과 소통이 매우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조 회장 등 경영진이) 우리가 요구한 것들을 커닝하듯 베껴서 내놓고 자기들 공인 양 호도하는 걸 보면서 실망을 했다”며 “갑자기 열심히 한다고 말하는 것을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
한진그룹 경영 문제에 관해 “전문경영인과 소유경영인의 싸움으로 볼 수 있는데, 서양은 대부분 기업이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전문경영인 체제를 채택함에도 국내에서는 재벌기업 대부분이 소유경영 체제를 채택해 거부감이 많은 것 같다”며 전문경영인 체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우리가 엘리엇이랑 자꾸 비교돼 ‘투기자본’, ‘먹튀’라는 비난을 많이 듣는데, 이걸 극복하려 많은 애를 썼는데도 이렇게 계속 불리는 것에 아쉬움이 있다”며 “엘리엇과 가장 큰 차이는 주요 펀드의 만기가 10년이 넘는 등 ‘타임 호라이즌’(참여 기간)이 굉장히 길고 장기투자로 기업 체질을 개선해 기업가치가 올라간 부분에 대해 정당한 이익을 얻는다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우리가 (한진그룹의) 대규모 구조조정을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는데, 나는 이전 LK파트너스 시절부터 인위적인 구조조정을 한 번도 한 적이 없다”며 “개인적인 소신을 얘기하자면 기업을 한다는 것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지 없애는 일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