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7명 ‘배달앱 합병’으로 수수료 인상, 서비스 질 저하 우려

입력 2020-02-20 10:58

경기도민 10명 중 7명은 ‘배달앱 합병’으로 인해 수수료 인상, 서비스 질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와 함께 배달앱-가맹점-소비자 간 유통구조를 공정하게 만들기 위한 법률을 만들어야 한다는 데에 경기도민 10명 중 8명이 찬성했다.

경기도는 지난 8일부터 9일일까지 이틀간 도민 1100명을 대상으로 ‘배달앱’ 관련 여론조사를 실시했다며 20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최근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 3개 업체 합병 이슈에 대해 ‘시장을 독점할 경우 수수료 인상, 서비스 질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응답이 72%에 달했다.

반면 ‘우수한 플랫폼 바탕 배달앱시장이 더욱 성장할 것’이라는 대답은 20%에 그쳤다.


배달앱-가맹점-소비자간 유통구조를 공정하게 만들기 위한 법률 마련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84%가 찬성했다.

또 배달에 종사하는 배달앱 플랫폼노동자들의 처우개선이 필요하다는 대답이 85%로 높았다.

배달앱 플랫폼노동자들은 대부분 노동관계법령상 근로자로 인정받기 어려운 특수형태근로종사자로 분류된다.

한편 도민 절반(49%)이 주1회 이상 배달음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0%가 배달앱을 이용해 음식을 주문한 적이 있었으며, 특히 20~30대층의 이용률은 90%에 달했다.

곽윤석 도 홍보기획관은 “최근 배달앱시장의 성장세가 코로나19 국면에 따라 더욱 가속되고 있다”며 “공정한 유통구조에 대한 도민요구가 높은 것은 시장 자율성에만 맡기기보다 공공영역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된 결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이용수 도 공정국장은 “최근 배달앱 합병 이슈로 시장독점에 따른 여러 문제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경기도는 서울시, 인천시와 수도권공정경제협의체 공동의제로 배달앱 관련 자영업자 실태조사를 통해 현황을 파악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8일부터 9일까지 만18세 이상 도민 11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 ±2.95%p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