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주민 4600여명 군수 소환투표 청구

입력 2020-02-18 15:14 수정 2020-02-18 19:03
충북 보은지역 시민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정상혁 보은군수 주민소환 추진을 함께한 사람들’이 18일 보은군선거관리위원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일본 아베 정부의 입장을 두둔하는 듯한 발언을 해 논란을 야기한 정상혁 충북 보은군수의 퇴진을 요구하는 주민 4600여명이 18일 보은군선거관리위원회에 주민소환투표를 청구했다.

주민소환투표 청구인대표자(서성수)는 이날 주민소환투표 청구서와 소환청구인서명부를 선관위에 제출했다.

이들이 제출한 청구 서명인수는 주민소환투표 청구 요건인 주민소환투표청구권자 총수(2만9432명)의 100분의 15인 4415명을 웃도는 4672명이다.

선관위는 청구인 서명부 심사 등 후속 절차 사무는 20일 8명으로 구성한 선거관리위원 회의에서 의결한다. 선관위원 회의는 총선이 두 달도 채 남지 않았고 심사, 열람, 보정, 소명 등 여러 절차를 거쳐야 하는 점을 고려해 4월15일 총선이 끝난 뒤 본격적인 심사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서명 정족수 충족에 문제가 없다면 선관위가 주민소환 투표를 발의하고, 정 군수는 직무가 정지된 채 주민소환 투표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

투표에서 전체 유권자 3분의 1 이상이 참여하면 개표를 하고, 과반이 찬성하면 정 군수는 직을 잃는다. 투·개표 과정에 드는 4억3000만원 정도의 예산은 보은군이 부담한다.

정 군수 퇴진운동을 추진한 ‘정상혁 보은군수 주민소환 추진을 함께한 사람들’은 이날 선관위 앞에서 서명부 제출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했다. 이들은 “보은군수에게 주민소환 서명으로 드러난 군민의 준엄한 명령과 그 뜻을 분명히 전한다”며 “정상혁 군수는 전국 최초로 주민에 의해 소환돼 직위해제되는 지자체장이라는 불명예를 얻기 전에 자진사퇴해 최소한의 명예를 지켜라”고 말했다.

앞서 정 군수는 지난해 8월 울산에서 열린 보은 이장단 워크숍에서 “위안부 그거 한국만 한 것 아니다. 한일 국교 정상화 때 모든 것이 다 끝났다고 일본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다” 등의 발언을 해 논란이 됐다.

보은=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