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에 3·4세대 방사광가속기에 이어 차세대 원형방사광가속기 유치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차세대 방사광가속기는 기존 3세대 방사광가속기보다 빛의 밝기를 100배 이상 개선한 것으로 포항가속기연구소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위탁으로 개념 설계를 진행 중이다.
정부는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개념설계를 상반기 중에 마무리하고 하반기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 전 건립 부지를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차세대 방사광가속기는 20개 이상의 빔라인에서 동시에 실험할 수 있다. 총건설비는 6000억~8000억원으로 예상된다.
전남 나주, 충북 오송, 강원 춘천, 인천 등이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경북도도 최근 포항시, 포스텍과 함께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유치를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경북도는 현재 3·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운영 중인 포항을 염두에 두고 있다.
포항에는 1995년 준공한 3세대 원형방사광가속기와 2016년 준공한 4세대 선형방사광가속기가 운영 중이다.
따라서 기존 가속기의 전력, 상하수도, 가스, 난방시설 등 부대시설과 연계하면 다른 지역보다 1000억원 이상의 사업비를 절감할 수 있고 사업기간도 1년 정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25년간 가속기를 운영하면서 축적한 기초·응용과학 연구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면 신규 가속기의 초기 안정적인 운영은 물론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포스텍 내 기존 3·4세대 가속기가 있는 인근 지역에 10만㎡ 규모의 건립 예정지를 선정하고 측량, 지반 조사, 관련규정 검토 등 가속기 부지 조성에 필요한 사전검토를 마친 상태이다.
경북에는 포항 3·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비롯해 경주의 양성자가속기 등 세계 유일의 3대 가속기 클러스터가 구축돼 있다.
뿐만 아니라 포스텍을 중심으로 미국 국립가속기연구소, 영국 다이아몬드 광원연구소, 일본 싱크로트론 방사광 연구소와 이화학연구소, 스위스의 PSI, 독일의 막스플랑크연구소 등 다양한 해외 가속기 기관과 글로벌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기존 3·4세대 방사광가속기가 운영 중인 포항의 경우 기반시설이 갖춰져 있어 공사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은 물론 안정적인 운영에도 유리하다”며 “포항시, 포스텍 등과 차세대 가속기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