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불안에 전통시장을 찾지 않는 이들을 위해 ‘클린시장’이 운영되고 온라인 주문·배송 서비스가 도입된다. 소비 촉진을 위해 서울 지역화폐 ‘서울사랑상품권’ 구매 한도가 월 50만원에서 100만원까지 2배로 늘어난다.
서울시는 코로나19 확산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추진계획을 18일 발표했다.
먼저 소비심리 회복에 집중한다. 350개 전통시장과 상점가를 대대적으로 방역해 안심하고 찾을 수 있는 ‘클린시장’으로 운영한다. 앞서 방역을 끝낸 서울 4대문 권역 전통시장과 구로지역 총 8개 전통시장을 포함해 이미 216개 시장에 방역이 끝난 상태다. 방역이 끝난 시장에 대해서는 ‘클린시장’ 현수막을 내걸고 홍보한다.
그래도 여전히 방문을 꺼리는 시민을 위해선 온라인 전통시장 서비스를 도입한다. 신규 선정될 6개 시장에 한해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주문·결제, 2시간 이내 배송이 가능해진다. 콜센터 전화를 통해 주문·배송하는 기존 ‘전통시장 장보기 배송 서비스’는 기존 29개 시장에서 35개 시장으로 확대 적용된다.
아울러 오는 20일부터 4월 말까지 최대 10% 할인 혜택이 적용되는 서울 지역화폐 ‘서울사랑상품권’의 1인당 월 할인구매한도를 5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2배 상향한다. 상품권은 현재 구매 시에만 제공하는 할인을 사용 시에도 2∼5%가량 얹어주는 일종의 ‘캐시백’을 도입, 실질적 할인율을 최대 15% 수준으로 올릴 계획이다.
또한 공공 일자리를 단시간 내 늘린다. 코로나19 방역 인력을 포함해 총 2700명을 채용한다. 빠르고 확실하게 전통시장을 방역할 수 있도록 당장 1차로 1000명을 채용하고 2차로 피해업종(관광, 소상공인 등) 또는 실직상태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1700명을 추가 채용한다.
서울 자치구들도 경제 살리기에 동참했다. 서대문구는 매출 감소 피해를 본 전통시장 상인들이 서민금융진흥원의 ‘전통시장 신종 코로나 특별자금’ 1000만원을 융자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서울신용보증재단과 연계해 피해 음식업과 숙박업소가 연 1.5%의 저금리 대출을 받도록 안내한다.
강동구는 코로나19 확진자 및 격리자, 확진자 방문에 따른 휴업 자영업자 등 어려움을 겪는 납세자에게 납세 기한연장, 징수유예, 세무조사 유예 등 지방세 지원 대책을 시행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바이러스에 우리의 일상이 무너지지 않도록 서울시가 일선 현장에서 민생을 챙기며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