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국민들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악용해 전화사기(보이스피싱)나 휴대전화 문자 사기(스미싱) 시도가 늘고 있어 정부가 강력한 단속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금융위원회, 경찰청과 함께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국민들의 불안감 등을 악용하는 보이스피싱·스미싱 시도가 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17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마스크 무료배포’ ‘코로나로 인한 택배 배송 지연’ 등 코로나19 정보를 가장한 스미싱 문자가 지난 15일 기준, 9688건으로 집계됐다.
최근에는 문자를 이용한 스미싱 이외에도 전화로 보건당국·확진자 등을 사칭해 금전을 요구하는 보이스피싱 사기 및 유사 범죄시도가 늘고 있다.
자영업자에게 전화를 걸어 “나 확진자인데 당신 식당 갔어”라며 확진자를 사칭해 금전을 요구하는가 하면, 전화로 질병관리본부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을 사칭하며 방역 등을 위해 금전이나 앱 설치를 요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 관련 보건·의료기관 등을 사칭하기 위한 전화번호 조작 시도도 165건(15일 기준)이나 적발됐다.
이에 정부는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으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한편 확산 방지를 위해 통신 3사와 협력해 모든 국민들에게 코로나19 관련 보이스피싱·스미싱 경고 문자를 발송하고 향후 사태가 안정될 때까지 필요할 경우 즉시 경고를 발령할 방침이다.
또 관계기관과 협력해 보이스피싱 전화 등 신고 접수 시 사용된 전화번호를 즉시 이용 중지하고, 스미싱 문자 등 신고 접수 시 인터넷 주소(URL)를 즉시 차단할 방침이다. 보건·의료기관의 전화번호로는 원천적으로 발신 번호 변작(조작)이 불가능하도록 보건당국 등과 협력해 변작 차단 목록에 관계기관 전화번호를 조기에 등록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 전기통신사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조치들과 병행해 개인의 주의가 요구된다”며 “혹시라도 본인의 개인정보 탈취가 의심되거나 휴대전화를 도난·분실했을 때 2차 피해를 막기 위한 가입제한 서비스, 번호도용 문자차단서비스, 킬스위치(Kill switch)의 3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번호도용 문자차단서비스는 본인 전화번호로 인터넷 문자를 발송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서비스이며, 킬스위치는 분실 휴대전화의 개인정보가 악용되지 못하도록 휴대전화를 원격 제어해 개인정보를 삭제하는 기능이다.
정부는 관계부처·기관과 협력해 추후 국민 불안을 악용하는 유사사례가 발생하지 못하도록 관련 종합대책도 마련할 방침이다.
소설희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