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 직후 감염 경로 추정이 어려운 환자가 처음 나왔다. 서울 종로구에 거주하는 82세 남성으로 지난해 12월 이후 해외여행을 다녀온 적 없다. 뿐만 아니라 앞서 감염된 1~28번 환자들과 접촉하지도 않았다. 방역당국의 관리망을 벗어난 것으로 보이는 29번째 환자의 등장에 전문가들은 “드디어 올 게 왔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17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고 얘기하는데 위의 분들은 자꾸 안심하는 이야기를 과도하게 하기에 걱정을 하던 상황이었다”며 “놀라기 보다는 이미 우려하던 상황으로 올 게 왔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고 지난주 내내 이 부분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29번 환자 상태는 ‘안정적이다’ 정도로만 알려져 있다”며 “다만 고령 환자이기 때문에 의료진이 긴장하면서 치료를 하고 있다는 정보를 듣고 있다”고 전했다.
이 교수는 “역학 조사 결과가 정확하게 나올 때까지는 기다려봐야 하지만 일단 의료 기관들 입장에서는 이미 지역 사회 감염을 준비할 때가 됐다는 신호를 준 것”이라며 “29번 환자가 중국 여행력도 없다. 초기 증상이 오히려 심근 경색에 가까운 상태였기 때문에 모든 의료 기관들이 이제는 ‘여행력만으로 환자를 보면 안 되겠구나’라는 일종의 사인을 준 것으로, 준비 태세를 강화하게 만든 환자”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활약하고 있는 의료진들의 적극 대응에 대해서는 “상당히 잘 된 부분”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메르스 때 상황들을 겪어봤기 때문에 환자를 놓쳤을 때 생기는 여러 파장들에 대해 잘 인지하고 있다”며 “의사의 재량권을 인정한 것이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든 것 같다. 방역적인 부분 또는 의료 기관의 준비 태세 자체가 어느 정도 잘 돌아가고 있다는 걸 반영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국내 어딘가에서 방역망이 뚫리고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교수는 “역학 조사에서 고리가 발견 됐더라도 어차피 병원에는 이런 환자(29번 환자)가 올 수 있다는 걸 보여준 것”이라면서도 “의원급 또는 중소 병원은 어떻게 준비할 것이냐에 대해서는 지금부터 빨리 준비를 하고 대응 방법 등을 정정하는 작업을 이번 주 내내 열심해 해야할 것 같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이번 사례와 같은 감염 경로가 분명하지 않은 지역 사회 감염을 판정하는 기준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중국 여행력, 확진자와의 접촉이 확정되지 않은 사람들이 선발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지역 사회 감염 초기’라고 말한다”며 “그런 환자들로 인해 국내에서 역학적 고리 없이 환자들이 많이 늘게 되면 본격적인 확산기가 된다”고 했다. 29번 환자의 등장이 우리나라 지역 사회 감염의 초기 신호를 말하고 있다는 의미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