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행 대비 질본 역학조사팀 3배로 늘린다

입력 2020-02-16 17:39 수정 2020-02-16 18:13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에 대비해 중앙 역학조사팀을 현 10개에서 30개로 늘리기로 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16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코로나19 대응에 관한 회의를 갖고 역학조사 인력 증대 등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박능후 중앙사고수습본부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에서 “확진환자 발생 시 기민하게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역학조사를 위한 즉각대응팀은 기존의 10개에서 30개로 확충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신규 인력에 대한 교육을 오는 24일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각 시·도는 역학조사반을 기존 18개팀(114명)에서 40팀(249명)으로, 시군구는 325개팀(1928명)에서 562개팀(3299명)으로 확대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또 지역사회 및 의료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사례 차단 방안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박 장관은 “지역사회의 코로나19 환자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상시적인 감시체계를 구축하겠다”며 “해외여행력이 없더라도 의사의 소견에 따라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를 적극적으로 검사하고 특히 원인불명의 폐렴으로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는 해외여행과 관계없이 진단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검사기준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이와 함께 기존의 중증호흡기감염병 감시체계와 계절독감 표본 감시체계에 코로나19 검사를 추가하여 지역사회 감염을 조기에 찾아내는 감시망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요양병원, 요양시설 등 취약시설에 대해 감염 예방 노력을 한층 더 강화하겠다”면서 “면회를 제한하고, 외부인 출입 시에는 발열 등 증상이 있는지 확인한 후 출입을 허가하겠다. 특히 종사자들이 해외에서 입국한 경우 14일간 출근을 하지 못하게 하겠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오늘 발생한 29번 환자는 감염원인과 경로를 역학조사를 통해 추적 중이며 지역사회 발생 사례에 해당하는지 면밀히 검토 중에 있다”고 밝혔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