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배터리특구 관련업체 입주 막는 제도 개선해야

입력 2020-02-16 17:18
경북 포항의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내 ‘배터리 종합관리센터’ 건설 부지. 포항시 제공.

경북 포항의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가 관련 법규 미비로 관련 업체 입주에 제동이 걸렸다.

정부는 지난해 7월 영일만산업단지와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 등 2곳을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로 지정했다.

포항시는 앞으로 이차전지 소재(양극재·음극재)-배터리-리사이클로 이어지는 배터리산업 생태계를 완성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관련기업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블루밸리국가산단에는 오는 2021년 말까지 총사업비 107억원을 들여 배터리 규제특례 실증을 위한 ‘배터리 종합관리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배터리 종합관리센터는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의 친환경·고안전 분리와 해체 기술개발, 팩·모듈의 성능·안전성 시험평가 기반을 구축하고 재사용과 재활용 등급분류 기준 등을 마련하게 된다.

재사용이 가능한 배터리는 가정용과 산업용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한 경우는 파쇄 후 필요한 유가금속을 추출해 이차전지 제조 핵심소재로 재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블루밸리에는 전기차배터리 해체 관련 기업이 입주할 수 없다.

배터리 리사이클링의 첫 단계인 차를 해체해 배터리를 분리하는 자동차해체재활용업(폐차업)이 3차 서비스산업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블루밸리에는 제조업과 2차 산업만 입주할 수 있다.

포항시는 배터리특구에 유치 가능한 업종과 산업 분류표가 맞지 않는다는 점을 뒤늦게 확인하고 해결방안 모색에 나섰다.

포항시 관계자는 “중소벤처기업부 등에 자동차해체재활용업을 유치업종에 추가할 수 있도록 요청할 방침”이라며 “배터리 규제자유특구 활성화를 통해 지역 내 신산업을 육성하고 대규모 투자유치,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배터리산업 선도도시로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