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지역구 후보로 오는 4·15 총선에 나서는 태영호 전 북한 공사는 16일 주민등록상 이름이자 가명인 ‘태구민’으로 선거에 출마한다고 밝혔다.
태 전 공사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주민등록상 이름 ‘태구민’을 공개했다.
태 전 공사는 2016년 12월 주민등록을 취득할 당시 북한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가명 ‘태구민’을 썼다. 생년월일도 실제와 다르게 적었다.
그는 이번 총선에서 자유한국당(미래통합당으로 신설 합당 예정) 소속으로 출마하면서 진짜 이름 ‘태영호’와 생년월일을 되찾기 위해 개명 신청을 했으나 3개월 이상이 소요된다는 점을 알고는 주민등록상 이름으로 선거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태 전 공사는 비례대표 후보가 아닌 ‘수도권 전략공천’ 후보 중 한명으로 지역구 선거에 나설 계획이다.
태 전 공사는 ‘태구민’ 이름에 대해 “한자는 ‘구원할 구’에 ‘백성 민’을 써 북한의 형제 자매들을 구원해보겠다는 의미를 담았다”며 “북한 안팎의 북한 주민들이 저의 활동을 주의 깊게 들여다보고 있다. 저를 통해 대한민국의 자유와 민주주의 시스템을 이해할 수있도록 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신변안전 우려에 대해서는 “안전 보장에 어려움이 증가해도 정부를 믿고 새로운 도전에 당당히 나서겠다”고 밝혔다.
태 전 공사는 “저 태영호는 개인 태영호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자유 가치를 알리는 태영호이자 북한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태영호가 될 것”이라며 “저의 도전이 한반도 평화와 통일, 우리 공동체의 성장과 번영을 이루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태 전 공사는 “지역구가 결정되기 전에는 평화, 남북교류와 협력, 인권, 북핵 등의 문제에 집중하고 지역구가 결정된 뒤에는 해당 지역구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다루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역구 선정과 관련해서는 “당의 평범한 당원으로서 당의 결정을 존중하고 따르는 것이 저의 의무”라고 말했다.
지역 현안이나 사정에 어두울 수 있다는 지적에 태 전 공사는 “분명히 부족한 점이 많이 있겠지만 한국당 조직이나 선출직 등의 도움을 받아 성실하게 최선을 다하겠다”며 “지역구민이 저를 선택해주시면 대한민국 국익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국회의원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