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포천시가 도로와 철도를 비롯한 공항까지 탄탄한 교통기반을 조성에 나서고 있다. 특히 동서와 남북을 연결하는 사통팔달의 교통망 구축으로 균형발전은 물론 남북경협의 길을 준비해 평화경제도시로 우뚝서겠다는 계획이다.
남북경협 거점도시 포천은 지난해 교통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전철 7호선 연장사업 유치, 포천~화도 수도권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 착공 등 대규모 사업을 추진하며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신성장동력을 확보했다. 시는 지역경제의 바탕이 되는 교통 인프라 구축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도봉산 포천선(옥정~포천) 전철 7호선 연장사업은 지난해 1월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에 선정돼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았다. 15만 포천시민이 하나가 되어 만든 쾌거라는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 11월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가 완료돼 올해 초 기본계획 수립용역이 착수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총사업비의 약 10%에 해당하는 광역철도 건설분담금 확보를 위해 일찌감치 ‘포천시 철도건설기금의 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철도건설기금을 조성하는 등 사업이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다 하고 있다.
포천시는 전철 7호선 연장사업을 포천에서 끝나는 광역철도가 아닌 북한의 원산까지 ‘제2의 경원선’으로 연결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포천을 한반도 중심권역으로 탈바꿈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경원선은 서울을 기점으로 원산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 남북 분단으로 북한 구간 운행이 중단됐다. 단절된 남북 분단을 연결하면 원산을 지나 시베리아횡단철도(TSR)까지 연계된다. 시는 철도를 통한 물류 운송의 이점을 활용해 남북경협 거점 물류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유라시아 물류 거점도시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다.
시는 세종포천고속도로(구리~포천) 개통 이후 증가하고 있는 차량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국도 43호선(군내~영중간) 구간이 제5차 국도·국지도 5개년 계획(2021~2025)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건의해왔다. 그 결과 일괄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돼 현재 기획재정부에서 검토 중이다. 아울러 국도 43호선(영중~영북간) 구간도 제6차 국도·국지도 5개년 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해 늘어나는 교통수요에 대응한다.
포천시는 새로운 하늘길을 열어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시는 기존 군 공항 부지를 활용해 소규모 민·군공항을 개발한다. 지난해 11월부터 포천시 공항개발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에 착수, 용역을 통해 공항시설 입지 분석 및 항공수요 예측, 공항 유치에 따른 경제적 타당성 분석 등을 검토하고 있다. 시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국토교통부, 국방부 등 관계기관과 협의하고 정부가 수립하고 있는 ‘제6차 공항개발 중장기 계획(2021~2025)’에 반영되도록 노력한다. 시는 공항개발을 통해 포천시를 경기북부 지역의 항공교통 중심지로 육성하고, 국가 균형발전과 평화시대 남북경협의 토대를 마련할 계획이다.
박윤국 포천시장은 “GTX 연장사업을 비롯해 전철 4호선 연장사업 등을 추진해 남북경협 거점도시로서 탄탄한 교통기반을 확충할 계획”이라며 “현재 활발히 추진하고 있는 주요 광역교통망을 중심으로 국도 및 지방도, 시·도 및 농어촌도로, 도시계획도로 등 간선도로망도 함께 촘촘히 구축해 시민이 만족하는 교통 인프라를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포천=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