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철강과 수산업 등 대 중국 수입 의존도가 높은 부산지역 주요 산업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전방위적인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3일 부산상공회의소에 따르면 부산 전체 수입 품목 1189종 가운데 중국에서 수입하는 품목은 모두 155개로 88.7%를 차지했다. 이중 대중국 수입의존도가 50% 이상인 높은 의존도를 보인 품목도 390종으로 전체의 37%에 달했다. 이들 품목의 수입금액은 이보다 더 높은 48.3%로 절반에 육박했다. 특히 중국 수입의존도가 90%를 넘는 품목이 128종에 달하며 52종은 중국에 100%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자칫 중국 공급망에 문제가 생긴다면 부산지역 경제는 지난해 일본 수출 규제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부산 전체 수입 품목 중 일본 의존도가 50%를 넘는 품목은 90종으로 중국 390종의 4분의 1에 불과하고 수입금액도 2배 가까이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또 일본의 수출규제는 제한된 품목만 이루어졌지만,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공급망 차질은 지역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이 중국에서 수입하는 상위 20개 품목 가운데 중국 의존도가 50%를 넘는 품목은 철강과 철강 제품, 수산물, 유기 화학품 등이다. 특히 식자재로 사용하는 채소는 부산 전체 수입의 81%를 중국에서 들여온다. 수입 금액은 적지만 납은 100% 중국에 의존 중이다.
이에 부산시는 지역경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9%의 준재해·재난 특례보증을 신설해 지원에 나서고 이미 시행 중인 4000억 원의 소상공인 특별자금도 코로나19 피해업체에 우선 지원키로 했다. 지방세 납부·징수가 최대 1년까지 연장 및 유예하고 세무조사도 연기된다. 필요하면 지방세 감면도 검토할 예정이다. 관광·마이스업계에는 정부 차원의 긴급구제기금 지원도 추진 중이다. 아울러 부산항 물동량 감소 위기에 해수부, 부산항만공사, 터미널 운영사와 협력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국적 선사에 인센티브 제공도 검토하고 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