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선거구 획정 협상 첫발…13일 획정위 보고받기로

입력 2020-02-12 18:01

여야가 12일 4·15 총선 선거구 획정 협상 첫발을 뗐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여야 간사는 이날 회동을 갖고 늦어도 다음 달 5일 본회의에서 선거구 획정안을 처리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채익 자유한국당 행안위 간사는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선거구 획정 문제는 민간 기구(선거구획정위원회)가 구성돼 활동하고 있다”며 “민간 기구로부터 선거구 획정 논의에 대한 설명을 듣고 공유해서 이견을 좁혀가자고 말했다”고 말했다. 여야 간사는 13일 오전 김세환 획정위원장(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차장)으로부터 그동안의 논의 과정과 진행 상황에 대해 보고받기로 했다.

여야가 선거구 획정의 ‘데드라인’으로 정한 날은 다음 달 5일이다. 여야 원내대표는 전날 2월 임시국회를 오는 17일부터 30일간 열고 법안 처리를 위한 본회의는 오는 27일과 다음 달 5일에 열기로 합의했다. 여야가 시·도별 지역구 정수와 인구 상·하한선 기준을 정해 획정위로 전달하면, 획정위가 획정안을 국회의장에게 제출하고 다시 행안위와 법사위를 거쳐 본회의 표결에 들어가는 절차를 밟는다. 늦어도 2월 말까지는 여야가 인구 상·하한선 관련 합의를 해야 하는 셈이다.

여야는 전체 선거구에 큰 변화가 없어야 한다는 원칙에 공감대를 갖고 있다. 전날 심재철 한국당 원내대표가 이인영 민주당 원내대표에게 인구 상한을 넘겨 분구하는 선거구를 1곳으로 하고, 인구 하한에 못 미쳐 통폐합하는 선거구도 이에 맞춰 1곳으로 하는 방안을 제안한 사실이 전해지기도 했다. 민주당 원내 관계자는 “세종시 지역구가 분구되는 건 확실하다”며 “민주당도 (분구·통폐합을) 최소화하자는 원칙에는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래 민주당에서는 세종을 포함해 강원도 춘천과 전남 순천까지 3곳이 분구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우세했다. 통폐합 대상으로는 경기 군포갑·을이 우선 거론됐고 서울 강남은 갑·을·병 3개에서 2개로, 경기 안산 상록갑·을과 단원갑·을 4개는 3개로 각각 축소할 수 있다는 방안도 언급됐다.

신재희 박재현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