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항공업계가 휘청이면서 저비용항공사(LCC) 업계 1위인 제주항공이 위기경영체제에 돌입했다.
이석주 제주항공 대표는 12일 사내 메일을 통해 “이제 항공산업은 수익성 저하 차원을 넘어 생존을 염려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위기 국면에 진입했다”며 “비상경영을 넘어선 위기경영체제에 돌입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작년부터 이어진 한일관계 긴장 국면으로 관광객이 줄어든 데다 신종코로나까지 발병하면서 여행수요가 극도로 위축됐기 때문이다.
이 대표는 “해결 시점도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위기 대응을 위해 경영진이 먼저 임금의 30% 이상을 반납하겠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제주항공 인사원칙인 고용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이번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기존에 승무원 대항으로 진행했던 무급휴가 제도를 전 직원으로 확대한다”고 알렸다.
제주항공은 작년부터 추진해온 수익성 제고, 기단 규모의 조절, 투자 우선순위 재설정 등을 넘어선 대응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라는 판단이다. 이에 따라 위기경영체제 돌입을 통해 자구책을 마련하는 등 위기상황 극복에 나설 방침이다.
이홍근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