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을 아시아 제1의 창업 도시로 만들기 위해 부산시가 올해 2056억원을 투자한다.
부산시는 2020년 부산형 창업 혁신도시 조성 계획을 12일 발표했다. 올해 투자액은 국·시비 1213억원과 민간투자 843억원을 포함해 2056억원이다.
중점 추진전략은 거점별 창업 인프라 확대, 유니콘 기업 배출을 위한 프로그램 고도화, 데스밸리 극복을 위한 자금 지원 생태계 구축 등이다.
시는 지난해 12월 지정한 창업 촉진지구 6개 지구 집적화(2833만㎡)를 지원하고 스타트업 파크, 실험실 창업선도대학, 지식산업센터, 창업지원주택 등 정부 사업과 연계해 새로운 창업 인프라를 확충한다. 또 부경대 드래곤밸리, 부산대 AVEC, KT&G 상상마당 등 거점별 인프라 확충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시·창업지원기관·대학·민간 거버넌스를 강화해 창업 컨트롤 기능을 확충하고 동남지방통계청과 협업해 개발한 ‘부산창업동향통계’의 국가통계 승인도 상반기 중 추진한다.
부산창업지원센터·창업보육센터·재창업성공 캠프 지원과 기술사업화 지원, 창업기업 판로개척 지원, 청년창업 맞춤형 지원 등 스타트업의 고속성장 프로그램 고도화를 추진한다. 아울러 인공지능(AI)·게임·콘텐츠·가상현실(VR)·증강현실(AR)·블록체인 등 지식서비스 산업과 전자상거래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지역특화 산업 창업을 위한 지원에도 힘 쏟는다.
창업기업의 성장을 위해 단계별 맞춤형 창업펀드를 올해 4300억원으로 늘리는 등 투자를 확대할 방침이다. 또 자금생태계 인프라 확충을 위해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입주 금융·공공기관(7곳)이 참여하는 ‘민관합동 코워킹스페이스’와 은행권청년창업재단(D.CAMP)의 부산 유치도 추진한다.
글로벌 창업 인재 파이프라인 구축과 창업문화확산을 통한 도시 성장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연간 2만1000여명의 소프트웨어 창의 인재를 양성하고 BSW Bounce 2020 부산스타트업 위크 행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가치 추구를 위한 열정은 세상을 변화시킨다”면서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창업기업을 위해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