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으로부터 수도권 험지 출마 압박을 받고 있는 김태호 전 경남지사가 차선책으로 떠오른 ‘PK(부산·경남) 험지’ 출마에 대해서도 거부 의사를 나타냈다. 김 전 지사는 고향인 경남 산청·함양·거창·합천 지역구의 예비후보로 등록한 상태다.
김 전 지사는 1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현 지역구 출마 뜻에 변함이 없다. (공관위로부터 경남의 다른 지역 제안이 오더라도) 받지 않겠다”며 “여기(고향)에서 벗어날 수 없는 상황이다. 출마하면서 많은 사람들과 한 약속을 뛰어넘을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한국당 공천관리위원회는 김 전 지사와 홍준표 전 한국당 대표 등 거물급 인사들에게 수도권 험지 출마를 제안했다. 출마 요구에 응하지 않으면 컷오프(공천 원천 배제)도 불사하겠다며 엄포를 놓았다. 하지만 김 전 지사와 홍 전 대표는 ‘당에 헌신할 만큼 헌신했다’며 이를 거부했다.
분위기는 홍 전 대표가 공관위에 경남 양산을 출마를 역제안하면서 반전됐다. 양산을 지역구는 서형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총선 불출마로 김두관 전 경남지사가 경기 김포에서 지역구를 옮겨 출마를 선언한 곳이다. PK이지만 한국당에는 험지인 셈이다. 공관위는 김 전 지사에게도 창원 성산, 김해, 양산 등과 같은 PK 험지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형오 한국당 공관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두 분이 잘못된 장소(고향 출마)를 벗어나겠다는 그런 의사를 피력함으로써 절반의 수확을 거뒀다”며 “PK도 굉장히 중요시하는 지역이다. (민주당에) 뺏긴 PK를 탈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두고 당 안팎에선 사실상 PK 험지로 두 사람의 거취가 가닥이 잡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하지만 김 전 지사는 고향 출마 철회는 ‘오해’라고 했다. 김 전 지사는 “공관위가 험지 출마하지 않으면 자르겠다고 하는데 이런 식의 접근은 후보자를 자산이라고 말하는 것과 배치되는 거다. 접근 방법이 틀렸다”고 지적했다.
이어 “만약 다른 지역 출마가 필요하다면 사전에 충분히 논의해서 당에서 모양을 갖춰주는 게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언론에 이야기한 것이 마치 다른 지역에 나간다는 것처럼 비친 것이지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며 “지금 공관위의 방법은 서로의 이미지를 손상시킬 뿐”이라고 덧붙였다.
김 전 지사는 컷오프 가능성에 대해선 "그때가서 판단해보겠다"며 말을 아꼈다.
심우삼 기자 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