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빈집의 정비와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대규모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다음 달부터 빈집 실태조사를 벌이는데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제정·시행 후 처음 실시하는 전수조사다. 효율적인 조사와 신뢰성 확보를 위해 구·군에서 전문기관을 지정해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빈집은 거주 또는 사용 여부를 확인한 날부터 1년 이상 아무도 거주 또는 사용하지 않는 주택이다. 공공임대주택, 5년이 경과하지 않은 미분양 주택, 별장 등 일시적 거주·사용 목적 주택은 제외된다.
이번 조사는 상수도 및 전기 사용량을 근거로 추정한 빈집 1만1949호가 대상이다. 현장을 방문해 빈집 여부를 확인하고 주요 구조부 상태와 위해성에 따른 등급을 산정한다. 또 소유자 면담을 통해 빈집 발생 원인과 향후 조치의견, 빈집정보공개 동의 여부도 함께 파악한다. 시는 오는 9월까지 조사를 완료할 예정이며 조사 결과를 토대로 내년까지 맞춤형 빈집정비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시는 2013년부터 빈집정비사업을 벌였다. 지난해까지 307동의 방치된 빈집을 철거하고 공원, 간이쉼터 등 주민 편의시설을 조성했다. 올해에도 8억3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흉물로 방치돼 범죄와 화재 등 안전사고 위험이 큰 빈집 30동을 정비할 계획이다.
이번 전수조사가 끝나면 대규모 빈집정비사업이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수조사를 통해 빈집으로 판명되면 소유자의 동의를 얻어 빈집을 철거하고 해당 부지에 임시주차장, 쌈지공원 등 시민들을 위한 공공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전수조사와 함께 현재까지 조성된 빈집정비사업 완료 대상지 307곳의 점검도 함께 추진해 시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김창엽 대구시 도시재창조국장은 “전수조사가 마무리되면 대구 전체의 빈집정비계획 청사진을 그릴 수 있을 것”이라며 “객관적이고 정확한 실태조사로 개별 맞춤형 정비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