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선 전 북·미 정상회담 관심 없다” 보도

입력 2020-02-11 18:03 수정 2020-02-11 19:0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대선 전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3차 정상회담을 하기를 원치 않는다는 외신 보도가 나오자 청와대가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북·미 비핵화 협상 교착 상태가 오래 지속된다면 문재인 대통령이 새해부터 드라이브를 건 남북 협력 사업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미 CNN방송은 10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 캠페인에 집중하면서 북한 이슈에 관여하려는 욕구가 떨어졌다고 전했다. 미국 대북 정책에 정통한 한 당국자는 CNN에 “협상은 죽었다”라고까지 말했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와 국무부는 이 보도 내용을 확인하거나 부인하는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육성이나 트위터를 통해 밝힌 내용이 아니어서 청와대도 공식적인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며칠 전만 하더라도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북·미 대화를 강조했다. 그런 맥락을 봐야 한다”며 “소식통 발로 나온 CNN 보도가 미국의 공식 입장은 아니지 않냐”고 말했다. 실제로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지난 5일 미국 주재 대사들을 상대로 한 강연에서 “미국 국민을 위해 옳은 일을 하는 것에 관한 한,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국내 정치(요인)는 완전히 무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미 협상이 대선 일정 등 미국 국내 정치와는 별개라는 뜻이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 관련 언급이 부쩍 줄어 북·미 협상이 뒤로 밀리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국정연설에서도 북한과 북핵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북·미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 때문에 북한을 언급하지 않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에 미 대선이 끝난 뒤 내년에나 북·미 협상이 재개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반면 문 대통령은 선제적 남북 관계 개선을 통해 북·미 협상의 추동력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여러 차례 밝혔다. 북한 개별관광과 남북 스포츠 교류, 경제협력 등을 제안한 상태다. 최근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과 최종건 평화기획비서관이 연쇄적으로 미국을 방문한 것도 남북 협력 사업 문제를 조율하려는 목적이었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런 가운데 이문희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과 알렉스 웡 미 국무부 부차관보(대북정책특별부대표)는 11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청사에서 한·미 북핵차석대표 협의를 진행했다. 양측은 북·미 협상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북한의 최근 동향을 공유했다.
웡 부차관보는 이어 최영준 통일부 통일정책실장도 만나 문 대통령 신년사 이후 후속조치 등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웡 부차관보는 이 자리에서 싱가포르 북·미 합의 이행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고, 북핵의 외교적 해법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통일부는 밝혔다.

임성수 이상헌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