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불법체류자도 ‘신종 코로나’ 무조건 치료

입력 2020-02-11 15:41

서울시가 베트남·몽골인 등 소수 외국인을 위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치료시설을 운영한다. 불법체류자라도 출입국사무소에 신고하지 않고 무조건 치료한다.

서울시는 외국인지원시설인 서남권글로벌센터(영등포구 대림동)를 코로나 바이러스 임시 신고·접수센터(02-2229-4900)로 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서울에 많이 체류하고 있는 중국·미국인은 물론 소수 외국인 주민을 대상으로 이상 징후자 신고 및 접수, 선별진료소 연계를 돕는다.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치료비는 모두 무료(정부 부담)다. 확진자의 경우 격리기간 동안 생활비도 지원된다.

중국어, 영어, 베트남어, 필리핀어, 파키스탄어, 네팔어, 몽골어, 우즈벡어 8개 언어 상담을 지원하고 있다. 요청이 있으면 병원 진료에 동행해 통역서비스도 지원한다.

해당 언어 지원이 어려운 경우 11개 언어(영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몽골어, 필리핀어, 러시아어, 우즈벡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아랍어) 상담 지원이 가능한 서울글로벌센터에 연계해 지원하고 있다.

불법체류자도 출입국사무소 신고 걱정 없이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출입국관리법 제84조에 따르면 이런 경우 공공의료기관의 의료인은 통보의무를 면제받는다.

아울러 서울시는 한국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구로구 가리봉동), 더불어동포연합회(영등포구 대림동) 등 24개 단체, 기관에 마스크 5700개, 손 소독제 500개를 보급했다.

또한 70개 외국인 주민 커뮤니티 및 단체 등에 중국어 등 10개 언어로 번역된 행동요령을 배포하고 글로벌센터 등 외국인시설 홈페이지, 다문화가족 홈페이지, 중국동포신문, SNS 등에 게재했다.

현재 서울에는 약 45만명의 외국인 주민이 살고 있다. 국적별로 한국계 중국인과 중국인이 30만2316명(67.3%)으로 다수고 미국(2만9751명), 베트남(2만3577명), 몽골(8945명), 대만(7968명), 일본(7865명), 필리핀(6062명), 기타(6만2911명)으로 구성된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