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1월 기준으로 16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안심전환대출을 통한 제2금융권의 ‘대출 갈아타기’ 수요와 12·16 부동산 대책의 ‘시차’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은 11일 ‘2020년 1월 중 가계대출 동향’을 발표하고 지난달 말 현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전달보다 4조3000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1월 기준으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4년 이래 최대폭 증가다.
대출 증가분에는 안심전환대출 시행에 따라 비은행권에서 은행권으로 이동한 대환대출 수요(1조4000억원)가 포함됐다. 그렇더라도 이를 뺀 나머지 증가폭(2조9000억원) 역시 1월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다.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정책(12·16 대책)이 1월 대출에는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은 관계자는 “주택매매계약 후 자금 수요까지 2개월 안팎의 시차가 있다”면서 “이달까지는 이런 영향이 이어질 수 있지만, 대책의 효과가 점차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일반신용대출, 마이너스통장대출 등이 포함된 은행권 기타대출은 전달보다 6000억원 줄었다. 계절적 요인으로 보인다. 설 명절 상여금이 지급되면서 마이너스통장 대출잔고 등이 줄어든 영향이다. 주택대출(안심전환대출 포함)과 기타대출을 모두 합친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은 3조7000억원이었다. 이 역시 1월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증가폭이다.
제2금융권 주택대출은 1조3000억원 줄었다. 서민형 안심전환대출을 통한 전환, 위험(리스크) 관리 노력 등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됐다. 은행권 기업대출은 8조6000억원 증가했다. 대기업 대출이 3조1000억원 늘었고, 중소기업 대출은 5조4000억원 증가했다. 중소기업 대출 가운데 개인사업자 대출은 1조6000억원 증가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