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 확산 우려가 강해지며 신종 코로나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의 접촉자까지도 기피하는 분위기에 대해 방역당국은 “그럴 필요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확진자의 방문 장소는 모두 소독조치를 하는 만큼 확진자의 이동 경로 및 접촉자와 관련해 사실상 감염 가능성은 없다고 설명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0일 정례브리핑에서 “확진 환자의 접촉자는 역학조사를 통해 노출 여부를 면밀히 파악하고 전원 자가 격리하도록 하고 있다”며 “확진 환자의 이동 경로나 접촉자에 대해 국민들께서 과도한 불안을 가지실 필요는 없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현재 환자가 발생하면 발열이나 호흡기 관련 증상(기침, 인후통 등)이 나타나기 하루 전의 동선부터 공개하고 이들과 접촉한 사람들을 파악하고 있다. 특히 환자의 접촉자는 증상이 나타났을 경우 다른 사람들에게 노출되는 상황을 막고 감염 여부를 빠르게 확인하기 위해 자가 격리하도록 조치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정 본부장은 “확진 환자 방문 장소는 역학조사 과정에 파악이 돼 모두 철저한 소독 조치를 하고 있다”며 “코로나바이러스 특성상 노출 표면을 깨끗이 소독하면 사실상 감염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환자의) 접촉자의 접촉자는 감염의 우려가 없으므로 함께 거주하거나 공간에 같이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감염이 될 것이라는 과도한 불안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정 본부장은 이 표현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이 이어지자 “100%의 확실성을 전제로 말씀드리는 것은 아니다”고 정정했다.
한편 정 본부장은 잠복기와 전염기, 무증상기의 기준이 모호한 탓에 접촉자 인정 시점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 때문에 직장 폐쇄와 같은 불안한 대응을 할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그는 “(환자) 본인이 주관적으로 증상을 무시할 정도로 경증일 경우엔 무증상이라고 표현하는데 잠복기가 언제고, 언제까지가 전염기인지는 불확실하다”면서도 “무증상 감염자의 전염력이 있다는 것은 아직 과학적으로 확정된 사실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정 본부장은 확진자가 다녀간 시설에 대해 철저한 소독이 이뤄지고 있음을 재차 강조하며 과도하게 불안감을 가질 필요가 없음을 밝혔다. 다만 소독제의 위해 가능성을 고려해 시설 또는 장소를 소독한 뒤에는 이튿날부터 사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바이러스는 대기 중에 배출되면 감염력이 급격히 낮아지고 소독 후 당일에 사멸한다”며 “소독제 위해 가능성을 고려해 소독 다음 날까지 사용을 제한하지만, 이후에는 안전하게 해당 장소 이용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