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서울 종로 출마 선언 이후 첫 지역구 방문 일정에서 한 발언이 뒤늦게 논란이 되고 있다. 황 대표는 자신이 대학생이었던 시기인 1980년도를 언급하던 중에 “하여튼 무슨 사태가 있었죠. 그래서 학교가 휴교 됐었다”고 했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비상계엄령에 따라 전국 대학에 휴교령이 내려진 것을 지칭한 것으로 풀이되는데 황 대표는 이를 명확히 거론하지 않고 뭉뚱그려 말했다. 여야는 공당 대표로서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황 대표는 지난 9일 종로구 혜화동의 한 분식점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 같은 발언을 했다. 혜화동은 황 대표의 모교인 성균관대가 위치한 곳이다. 황 대표는 떡볶이와 어묵 등을 먹으며 기자들에게 “여기 처음 와본 분도 있죠? 내가 여기서 학교를 다녔다”며 “1980년 그때 하여튼 무슨 사태가 있었죠. 그래서 학교가 휴교 됐었던 기억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광주를 지역구로 둔 송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일 별도의 입장문을 내고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천박한 역사 인식의 발로”라며 “광주시민과 오월 영령에 대해 즉각 사죄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송 의원은 “제1야당 대표 황교안에게 5․18 민주화운동은 1980년에 일어난 ‘하여튼 무슨 사태’에 불과한 것”이냐며 “작년 5월 ‘광주의 상처가 치유되고 시민들의 마음이 열릴 때까지 광주를 찾고 시민들을 만나겠다’는 발언도 한낱 입에 발린 거짓말이었음이 드러난 것”이라고 비판했다.
바른미래당도 김정화 대변인 논평을 통해 “황 대표는 무릎 꿇고 사과하라”며 “광주의 피를 모욕하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부정하는 괴물이 되기로 한 것이냐”라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황 대표는 ‘사태’라는 군사정권의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며 민주화운동을 폄훼하기로 한 모양”이라며 “평생을 자신의 영달에만 애써온 황교안 대표이지만 서울의 봄과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모를 리는 없다. 선거를 앞두고 지지 세력을 결집 시키겠다는 의도가 개탄스러울 뿐”이라고 꼬집었다.
논란이 확산되자 황 대표는 “80년도에 대학 4학년이었을 때의 시점을 생각한 것”이라며 “광주하고는 전혀 관계 없는 말”이라고 해명했다,
심우삼 기자 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