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북이면 주민 ‘45명 암 발병’ 이유 밝혀질까

입력 2020-02-10 15:19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주민들은 “북이면 반경 2㎞ 이내에 3개의 소각장에서 나오는 유해 물질로 인해 주민 45명이 암에 걸리는 등 건강·악취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수년 간 인근 소각장 가동으로 분진과 매연 등이 발생해 호흡기 질환을 비롯해 암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12월 기준 북이면 주민 4773명 중 청원구보건소가 관리하는 이 지역 재가 암 환자는 45명이다. 현재 북이면에는 폐기물처리업체 3곳이 가동 중이고 추가로 1곳이 신설될 예정이다. 북이면에서 10㎞ 정도 떨어진 오창읍 후기리에도 한 폐기물처리업체가 하루 처리 용량 165t 규모의 폐기물 소각시설 설치를 추진 중이다. 전국 소각시설 처리용량은 하루 7970t인데 북이면 소각시설 처리용량은 하루 542t으로 전국 대비 6.8%에 달한다.

이처럼 폐기물 처리시설이 밀집해 있는 북이면 주민 1523명은 지난해 4월 환경부에 소각장으로 인한 건강역학조사 청원서를 제출했다. 환경부는 북이면 지역 규모와 비교해 소각 시설이 과밀하고 폐암 등 일부 암 발병률이 다른 지역보다 높다는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건강 영향조사 청원을 수용하기로 했다.

10일 청주시에 따르면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소각장 주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건강 영향조사를 이날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번 조사는 소각장 주변 주민을 대상으로 정부에서 실시하는 첫 번째 건강 영향조사다.

건강 영향조사는 올해 12월 15일까지 진행된다. 결과는 내년 2월쯤 발표된다.

이번 조사에서 환경부는 크게 환경 오염도와 주민 건강 등 두 가지를 자세히 들여다볼 방침이다.

환경오염도 조사를 위해서는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등 유해물질의 영향권이 어디까지 미치는지 파악하고 대기·토양 등의 오염도를 측정한다.

주민건강 조사는 설문 조사, 건강 검진, 인체 노출 평가, 건강 자료 분석 등으로 진행된다.

본격적인 조사에 앞서 환경부는 지난해 10월 주민 의견을 수렴해 조사 방안을 마련했고 같은해 12월에는 충북대 산학협력단(책임자 김용대 교수)을 조사기관으로 선정했다.

환경부는 이날 이번 건강 영향조사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열고 조사 방식에 대한 의견을 들을 예정이었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영향으로 무기한 연기했다.

김용대 충북대 교수는 “북이면 지역의 환경 오염도와 주민들의 건강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것”이라며 “소각장 주변 주민들을 상대로 한 건강영향조사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 3월부터 실시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