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버닝썬 후폭풍’ 강남서, 근무기피 여전… 이번에도 공모

입력 2020-02-10 13:14 수정 2020-02-10 19:00
서울 강남경찰서. 뉴시스

‘버닝썬 사태’로 홍역을 치렀던 서울 강남경찰서가 지난해 하반기에 이어 올해 상반기 인사에서도 일반 직원들을 대상으로 공개모집을 실시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필요 인력의 절반도 안 되는 인원이 지원하는 등 경찰들의 강남서 기피 현상은 여전했다.

10일 경찰 관계자에 따르면 서울지방경찰청과 강남서는 지난해 12월 중순쯤 경찰 내부망에 ‘강남경찰서 근무를 희망하는 경감급 이하 ○○○명을 모집한다’는 내용의 글을 올리고 지난달 27일까지 공개모집을 받았다. 버닝썬 사건 이후 강남서가 ‘기피 근무지’로 꼽히는 만큼 인사철이 본격 시작되기 이전에 직원들을 선제적으로 모으기 위해서였다.

정기 인사 전 공개모집을 진행한 곳은 서울에서 강남서가 유일했다. 이번 모집에서는 현재 징계를 받은 상태이거나 징계 의결이 요구된 경찰의 경우 응모 자격이 제한됐다. 서울지방경찰청은 지난해 7월 동일한 형식으로 강남서에 한해 보직 간부 외 일반 직원들을 공개 모집한 바 있다.

모집 결과 강남서에 지원한 직원은 필요 인원에 못 미치는 80여명에 불과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 관계자는 “지난해보다 더 적은 직원이 강남서에 지원한 것”이라며 “원래 2주 동안만 받으려고 했지만 지원자가 너무 없어서 공개 모집 기간을 늘렸다”고 말했다. 결국 정기 인사 때 근무지 지망란에 강남서가 포함된 경찰들까지 모두 강남서로 배정됐으나 당초 필요했던 인력에서 40명 가까이 부족한 상태다.

경찰 관계자는 “강남서가 버닝썬 사건으로 특별인사관리구역으로 지정되면서 특히 경사·경위급은 잘 안오려고 한다”고 말했다. 특별인사관리구역이란 비위 의혹이 잦은 부서 등을 대상으로 5년간 50% 인력을 교체하는 경찰 인사 혁신 제도로, 지난 7월 강남서가 ‘제1호 특별인사관리구역’으로 지정된 바 있다. 다른 경찰 관계자는 “강남서 관할 지구대·파출소에는 ‘허리’ 역할을 할 수 있는 팀장들이 전무한 상황”이라며 “팀장이 휴가를 가면 당장 경사·경장급 직원이 팀장을 대신해야 하는 일까지 발생하고 있다”고 했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