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9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폐렴)의 발원지인 중국 후베이성 우한 지역에 남아 있는 재외국민의 귀국을 지원하기 위한 3차 임시 항공편을 투입 방안을 논의한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오후 3시 정부서울청사에서 확대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열고, 신종 코로나 확산에 따른 국내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3차 임시 항공편을 투입하는 방안이 결정될 지 주목된다. 정부는 지난 달 31일과 이달 1일 임시 항공편 2대를 투입해 우한 교민 701명의 귀국을 지원했다. 현재 우한과 후베이성 일대에 남아 있는 교민은 중국 국적의 배우자와 자녀 등을 포함해 200여명이다. 추가 전세기를 운영할 경우 중국 국적의 가족을 포함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앞서 정 총리는 전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관계장관들과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이날 회의에서 논의할 내용을 사전 조율했다.
입국 제한 조치를 중국 후베이성에서 다른 지역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 앞서 정부는 4일 0시를 기해 14일 이내에 중국 후베이성을 방문·체류한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가 후베이성을 넘어 중국 전역으로 확산되며 입국 금지 조치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다만 정부는 입국 제한 범위를 확대하기보다는 특별입국절차를 싱가포르 등 동남아 국가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중국전용입국장을 별도 개설하고, 중국에서 입국하는 모든 내외국인의 국내 거주지와 실제 연락처를 직접 확인한 후 입국을 허용하고 있다.
중국 외 동남아 일부 국가에 대한 여행경보를 상향을 결정할 지도 주목된다. 외교부는 지난 달 28일 대만을 제외한 전 중국지역에 여행경보 2단계(여행자제)를 발령했다. 후베이성은 지난 달 25일부터 3단계(철수권고)가 발령된 상태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