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이 비말(침방울)·접촉뿐 아니라 에어로졸(공기 중에 떠 있는 고체 입자 또는 액체 방울) 형태로도 전파될 수 있다는 주장이 중국에서 나왔다.
중국매체 펑파이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시 민정국 청췬(曾群) 부국장은 8일 신종코로나 관련 상하이시 기자회견에서 위생방역 전문가의 의견을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청 부국장은 “현재 확정적인 신종 코로나 감염 주요경로는 직접 전파, 에어로졸 전파, 접촉을 통한 전파”라고 전했다.
직접 전파는 환자가 기침하거나 말할 때 나온 비말, 환자가 내쉰 기체를 가까이서 직접 흡입해 병에 걸리는 것이다. 접촉을 통한 전파는 비말이 물건 표면에 내려앉은 뒤, 이를 접촉해 오염된 손으로 눈·코·입 등을 만져 감염되는 것이다. 에어로졸 전파는 비말이 공기 중에서 혼합돼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이를 흡입해 감염되는 것이다.
당초 신종 코로나는 침방울·호흡기 분비물과 접촉으로만 이뤄진다고 알려져왔다. 한국 정부는 역시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신종 코로나 전파 경로는 비말(침방울) 및 호흡기 분비물(콧물, 가래 등)과의 접촉”이라고 안내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에 감염된 사람이 기침, 재채기를 했을 때 공기 중으로 날아간 비말이 다른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가거나, 손에 묻은 바이러스가 눈·코·입 등을 만질 때 점막을 통해 바이러스가 침투해 전염된다는 설명이다.
청 부국장은 질병 예방과 관련 “일체의 사회활동 관련 모임을 취소해야 한다. 신종코로나 상황이 심한 지역의 친지·친구가 찾아오려는 경우 말려야 한다”면서 “창문을 열고 환기를 자주 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손잡이·책걸상·변기 시트 등을 75% 에탄올 등으로 닦고 소독해야 한다”면서 손을 깨끗이 씻고 기침 시 입과 코를 가리는 등 개인위생에도 주의를 당부했다. 또 “공기·접촉을 통한 전파를 피해야 한다”면서 “의심환자의 신체 분비물과 접촉을 피하고, 개인 생활용품을 함께 쓰지 말아야 한다. 악수나 포옹 등도 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국 인터넷플랫폼 바이두의 질병 집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중국에서는 3만명 넘는 확진자와 700명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고, 상하이에서는 확진자 286명, 사망자 1명이 나온 상태다.
박세원 기자 o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