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7일 “가까운 이웃인 한·일 양국은 세계 경제가 어려울수록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일본과의 관계 개선의 의지를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도미타 고지 주한 일본 대사 신임장 제정식을 갖고 이 같이 말했다고 한정우 춘추관장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주한대사관에서 참사관, 공사로 근무한 경험으로 한국을 잘 이해하고 있는 도미타 고지 대사의 부임을 환영한다”며 “한·일 간 현안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도미타 대사는 “한국 근무 당시 노무현 대통령께서 양국관계에 마음을 쓰신 점을 잘 알고 있다”며 “문 대통령께서도 양국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신 데 대해 경의를 표한다”고 답했다. 도미타 대사는 2004부터 2006년까지 주한 일본대사관 참사관·공사로 근무하며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 이후 주미 일본대사관 공사와 외무성 북·미국장을 역임하는 등 대표적인 미국통으로 꼽힌다.
특히 문 대통령은 한·일 관계 개선의 의지를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은 “가까운 이웃인 한일 양국은 세계 경제가 어려울수록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미래를 위한 노력에도 머리를 맞대고 지혜롭게 해결방안을 찾아나가길 바란다”고 했다. 이어 “아베 신조 총리가 나와 더 자주 만날 수 있는 관계를 만들고 싶다고 한 것으로 아는데, 같은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도미타 대사는 “양국이 지난 한·일정상회담을 통해 현안 해결에 합의한 만큼 그 이행을 위해 전심전력을 다 하겠다”며 “양국관계 강화를 위해서는 양 정상의 관계구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양 정상이 자주 만나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지난해 12월 24일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일본의 수출 규제와 강제징용 배상 문제 등 양국 간 현안을 논의했지만 이렇다 할 결과를 내놓지는 못햇다. 한·일 갈등의 근원인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를 두고 양국 간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일 외교당국이 지난 6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청사에서 국장급 협의를 갖고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 등을 논의했지만 여전히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문 대통령은 올해 도쿄올림픽 개최를 비롯해 신종 코로나 차단에 양국이 협력하자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아베 총리가 2018년 평창올림픽에 참석한 것에 감사의 뜻을 전하며 “우리 정부도 도쿄올림픽의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올해 도쿄올림픽이 있고, 한·중·일 정상회의가 한국에서 개최되는 만큼 더 활발한 고위급 교류가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한·일이 신종 코로나 관련 정보를 공유·협력하자고 강조했다.
도미타 대사는 “신종 코로나 협력 등 양국이 협력해야 할 분야가 많다”며 “도쿄올림픽은 아시아 지역에서도 매우 중요한 대회이기 때문에 한·중·일 3국 협력 등 성공개최를 위해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답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