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신종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8일부터 자가격리자 일부를 서초구 서울시인재개발원에 입소시킨다고 7일 밝혔다.
서울시는 “인재개발원을 8일부터 자가격리자 격리시설로 활용하기로 결정했다”며 “최대 30명의 자가격리자가 수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보건당국은 신종 코로나 확진 환자가 증상이 있을 때 2m 안에서 접촉했거나, 폐쇄된 공간에서 확진자가 기침 등 호흡기 질환을 나타낸 경우 주변 사람들을 모두 접촉자로 분류, 자가격리자로 지정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자가격리자 가운데 혼자 거동이 힘들거나 면역력이 떨어진 고령자와 장애인 등 사회취약계층이 우선 입소 대상이다. 시설 돌봄이 필요하거나 가족 간 감염 우려가 있는 자가격리자가 보건소 측에 격리를 요청하면 보건소와 서울시가 선별해 입소 여부를 결정한다.
입소자들은 1인 1실에서 격리되며 최대 14일간 증상이 없으면 귀가 조치된다. 신종 코로나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병원으로 바로 이송할 방침이다. 격리시설에는 의사와 간호사 등 전문 의료 인력이 상주하며 입소자들을 24시간 모니터링한다. 서울시는 “자가격리와 병원격리의 중간 형태”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개별 공간을 갖추고 있고 주택가나 초등학교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관내 관리 시설을 검토한 결과 인재개발원을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인재개발원은 2009년 신종플루,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때도 격리시설로 지정됐다.
서초구는 “강력하고 실질적인 방역을 실시해 주민분들의 불안감을 해소해 나가겠다”며 “서초구민도 성숙한 시민의식을 발휘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중앙정부와 자치단체가 긴밀히 협조하며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은 당연한 책무”라고 말했다.
방극렬 기자 extre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