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가 지역사회에 확산해 장기전으로 가면 과거 메르스 사태 때처럼 국내 여행객이 최대 40%까지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충남연구원은 충남경제 이슈보고서를 작성해 충남도에 신종코로나 사태에 따른 지역경제 대응 방향을 제안했다고 7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구원은 신종코로나가 지역사회에 전파돼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하면 메르스 사태와 유사하게 국내 여행객이 급감할 것으로 예측했다.
신종코로나 확산세가 6개월 지속하면 국내 여행객이 최대 40% 정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럴 경우 충남 경제에 미치는 피해로 생산액 1조4000억원·부가가치액 4780억원이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 산업이 위축돼 1만2584명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 관광객 입국 제한으로 외국 관광객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원은 중국인 관광객 입국 제한이 6개월 지속되면 도내 생산액 5290억원, 부가가치액 1720억원이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국내에 메르스가 확산한 2015년 6월, 7월, 8월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41%, 53%, 26% 감소했다. 3개월 동안 외국인 관광객 160만명이 발길을 끊었다.
메르스가 지역사회에 확산해 절정을 보인 2015년 6월 국내 여행객은 1193만명으로 1년 전과 비교해 40%, 800만명 가까이 급감했다.
국내 여행객은 2015년 7월에도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 줄었고, 8월이 돼서야 전년 수준을 회복했다. 메르스 영향으로 2개월 정도 국내 관광산업이 크게 위축된 것이다.
연구원은 관광객이 감소하면 도내 숙박·음식점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며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신종코로나 사태로 중국 경제성장률이 0.7%(단기)∼1.1%(장기) 하락할 수 있다는 중국 내 발표를 근거로 중국과 국내 산업 연관성을 고려해 파급효과를 산출했다”며 “도내 관광·소비 진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성=전희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