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수본 “동선 공개 늦다? 당사자 기억 의존 NO, 모든 기록 확인”

입력 2020-02-06 15:15
김강립 중앙사고수습본부 부본부장이 5일 세종 정부세종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중앙사고수습본부 일일상황점검회의 결과 등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가 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 확진자 동선 발표가 늦다는 지적에 “당사자 기억에만 의존하는 게 아니라 관련 기록을 아울러 확인 중”이라며 “지자체의 정보 독자 공개로 혼선을 일으키지 않는 협조가 긴요하다”고 밝혔다.

김강립 중수본 부본부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브리핑실에서 ‘역학조사 결과 동선 속도가 지자체보다 늦어서 부정확한 정보도 떠도는데 대책이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앞서 일부 지자체에서는 질병관리본부(질본)의 공식 역학조사 결과 발표가 나오기 전 확진자 동선을 SNS에 올려 공개하면서 지역 주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김 차관은 이에 대해 “주민들의 정보 공유 요구가 많아서 지자체가 알리는 점은 이해하지만 방역당국의 결정을 신뢰하고 다른 추가 정보를 독자 공개해 혼선을 일으키지 않는 협조가 매우 긴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질환(신종 코로나)은 1급 감염병이고 질본이 전체적인 통제를 하는 게 필요하다고 법에 규정돼 있다. 그 법에 의해 현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5일부터 행정안전부와 각 지자체에 이런 지침을 명확하게 말하고 합력을 강력하게 촉구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확진자 동선 발표가 늦다는 지적에 대해선 “확인 안된 정보를 섣불리 내보낼 경우 일상생활 혼선, 지역 생활 내 차별 등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도 저희들은 고려하고 있다”며 “안정적인 파악이 진행되는 시점에서 최단 시간 내에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게 기본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김 본부장은 “사례에 따라 역학조사 숫자나 규모를 다르게 하고 있다. 조사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도 있기에 경우에 따라 다르게 대응 중”이라며 “당사자 기억에만 의존하는 게 아니라 신용카드 기록이라든지, CCTV라든지 관련 기록들을 아울러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실제 현장에 가보면 질본 투입의 즉각 대응팀과 지자체 인력들이 같이 조사를 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김 본부장은 “사안에 따라 다소 시간이 더 필요한 경우도 있어서 일률적으로 확진자 확인 이후 당일에 알리겠다고 못 박는 건 적절치 못하다”고 전했다.

박세원 기자 o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