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와 김호창 업스터디 대표가 6일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자녀 입시 비리 의혹 관련, 검찰 수사가 적절했는가를 두고 공개토론을 벌였다.
진 전 교수와 김 대표는 이날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5층 대회의실에서 ‘조국 사태인가, 검찰 사태인가’라는 주제로 ‘맞짱토론’에 나섰다. 두 사람은 특히 조 전 장관 자녀 입시와 관련한 검찰 수사에 대해 극명한 입장차를 보였다.
김 대표는 먼저 조 전 장관 딸 조민씨의 ‘고려대 입시 비리’ 의혹과 관련 “공소시효가 지난 사건을 6개월간 잡아서, 단국대 교수까지 불러서 조사하고, 입학사정관 불러서 만약 사실로 밝혀지면 취소 할 거냐 묻고, 이걸 다시 언론에 흘리고”라며 “이건 공소장에도 안 들어간 내용”이라고 지적했다. 검찰 수사가 과도했다는 취지다.
조씨는 2010년 고려대 생명과학대학에 수시 전형으로 지원하며 허위·위조 스펙 3개를 제출한 의혹을 받았다. 위조 과정에 조씨의 어머니이자 조 전 장관의 부인인 정경심 동양대 교수가 관여한 것으로 검찰은 판단했다. 그러나 이는 공소시효(7년)가 지나 정 교수의 공소장에 포함되지 않았다.
김 대표는 “봉사 관련 부분은 (입시과정에서) 문서 제출 의무도 없다. 그러니까 사실 조퇴증보다도 더 낮은 문서”라며 “이걸 6개월간 압수수색까지 해서 찾으려고 하는 것이 정상적인가”라고 비판했다.
진 전 교수는 “아무 의미가 없는 문서인데 왜 부지런히 위조를 했나”라며 반박에 나섰다. 그는 “조민이 부산대 의전원 넣었을 때 성적사전요인으로 총장 표창장이 들어가 있다”며 “분명 입시 요강에 나와 있는데 아무짝에도 쓸데없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표창장에) 인문학 영재 프로그램이라고 적혀있다. 이게 열린 적 없는 프로그램인데 어떻게 가서 봉사를 하고, 하지도 않은 봉사가 표창장이 나가나”라고 주장했다. 이어 “2010년은 정 교수가 동양대에 있지도 않을 때”라고 덧붙였다.
이날 두 사람의 토론은 진 전 교수가 지난달 초 페이스북에 “저와 토론하고 싶은 문빠 분들은 이 글 밑에 신청하시고, 메시지로 연락처를 남겨달라”고 공개토론을 제안한 뒤 김 대표가 ‘참전’을 선언하며 성사됐다.
진 전 교수와 김 대표는 90분간 이어지는 토론에서 조국 부부의 자녀 입시 비리, 조국 일가를 둘러싼 검찰 수사에 대한 평가, 갈라진 여론과 책임, 조국을 놓아주는 방법 등 크게 4가지 주제로 나눠 갑론을박을 벌였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 김영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