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일자리가 5060 중장년층은 늘어난 반면, 3040은 감소했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를 보면 2018년 기준 공공부문 일자리는 245만4000개로 전년보다 2만개(0.8%) 늘어나는 데 그쳤다. 증가폭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5년 이후 가장 작았다.
연령별로 보면, 30대와 40대 일자리는 각각 1만4000개(2.1%)와 1만2000개(1.7%) 줄어든 반면, 50대와 60대 일자리는 각각 2만2000개(3.9%)와 1만3000개(9.1%) 늘었다.
일반정부 일자리는 209만7000개로 전년 대비 1만3천개(0.6%) 늘었고, 공기업 일자리는 35만4000개로 전년보다 7천개(2.1%) 증가했다.
일반정부 일자리 중에는 중앙정부 일자리가 78만9000개(32.2%)로 전년보다 1만2000개, 사회보장기금도 4만1000개(1.7%)로 4000개 각각 늘어난 반면, 지방정부 일자리는 126만7천개(51.7%)로 3000개 감소했다.
공기업 중 금융공기업은 2만6000개(1.1%)였으며 비금융 공기업은 32만8000개(13.4%)로 전년보다 7000개 늘었다.
공공부문 일자리 중 지속일자리는 218만1000개(89.0%)였고 이·퇴직으로 근로자가 바뀐 일자리는 21만9000개(8.9%) 신규 채용된 일자리는 5만1000개(2.1%)였다.
지속일자리란 1년 이상 동일한 사람이 일자리를 점유한 사례로, 상대적으로 안정된 일자리를 말한다. 민간부문 임금근로 일자리 중 지속일자리가 71.0%, 대체일자리가 16.3%, 신규채용 일자리가 12.7%라는 것과 비교하면, 안정성이 압도적으로 높다.
전체 일자리 중 일반정부 일자리 비중은 OECD 회원국 평균 17.7%(2017년 기준)의 절반 수준으로, 일본 5.89%에 이어 꼴찌 수준이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대선 공약에서 우리나라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이 7.6%로 OECD 평균의 3분의 1 수준이라며, 이를 3% 포인트 올려 공공부문에서 81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구상을 밝혔었다.
문재인 정부는 같은 해 10월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공공일자리 81만개 창출 계획을 공개한 바 있다. 2018년 말 기준 공공부문 고용비율이 9.1%로 올라서면서 대선 공약 목표치의 절반을 이행한 셈이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