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인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6일 “감염원을 추정하기 어려운 지역사회 환자도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대규모 환자 발생에 대비해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을 확보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내일(7일)부터 검사를 강화하고 (의심환자) 사례를 넓히다 보면 확진 환자 숫자가 더 늘어날 수 있고 또 그렇게 조사를 하다 보면 감염원을 추정하기 어려운 지역사회 감염 환자도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이어 “그렇게 되면 중국처럼 유행이 어느 정도 진행이 되고 특히 경증 환자를 통해 감염이 확산하면서 감염자가 늘어날 경우에는 지역사회 전파 규모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지역사회 전파 대비에 가장 중요한 것은 두 가지”라면서 “하나는 환자가 증가 시 필요한 병상과 인력 등 의료자원 동원에 대한 계획을 만들어 대비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의료기관의 대응시스템”이라고 말했다.
이어 “두 번째 의료기관의 대응 시스템과 관련해 신종코로나는 2009년 신종플루 사태 때와 달리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제를 찾아 진료 방침을 정하고 약물을 확보하는 일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또 “손 씻기와 기침 예절, 개인 위생도 대규모 전파를 차단하는 중요한 대책”이라고 말했다.
다만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은 다른 나라의 전파 양상으로 미뤄보아 우리나라 역시 상황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내놓은 발언이라는 게 정 본부장의 설명이다.
정 본부장은 “홍콩의 경우 이전에는 주로 중국에서 유입된 환자들이 생겼는데 요즘은 여행력이 없는 환자들이 나오는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우리나라 역시 어느 정도 감염자가 누적되면 지역사회에 확산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비할 필요가 있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사고수습본부 부본부장인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도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에서 “신종 감염병의 국내유입이 계속 확대되고 있고 이로 인한 접촉자의 숫자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로 인해 지역사회로의 확산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어 비상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김 차관은 “오늘 중수본 회의에서는 현재의 방역관리체계를 강화하고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지역방역대응체계를 한층 더 강화하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고 말했다.
김 차관은 “각 지역의 치료 역량과 격리시설 관련 자원을 재점검하고 준비를 한 뒤 (지역사회 확산 시 대책을) 공식적으로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