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5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 대응의 최전선인 보건소를 찾았다. 문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와 관련해 일선 현장을 찾은 것은 지난달 국립중앙의료원 방문에 이어 두 번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성동구 보건소를 찾아 선별진료소 운영, 중국인 유학생 입국 대책 등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에 자치단체와 보건소의 역할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손 세정제로 소독한 뒤 마스크를 착용한 뒤 선별진료소로 이동했다. 문 대통령은 “악수는 생략하겠다”고 했다. 현장 방문에는 박원순 서울시장과 정원오 서울 성동구청장 등이 함께했다.
문 대통령은 “지역사회 감염을 막고 주민들을 과도한 불안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 그 최일선 역할을 지역사회 보건소가 하고 있다”며 “성동구 보건소가 그 역할을 아주 잘하고 있는 것 같다”고 격려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앞으로 이 일을 겪고 나면 신종 감염병이 언제 또 어떤 형태로 닥칠지 알 수 없으니 국가적으로 대응체계를 훨씬 더 강화해야 할 것 같다”며 “우선 현재 상황을 잘 수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성동구에 있는 한양대를 언급하면서 “중국인 유학생뿐 아니라 중국으로 교환학생을 갔다가 돌아온 학생 등이 많은 데 촘촘하게 종합적 관리가 되는지 모르겠다”고 물었다.
이에 대해 박 시장은 “대학 당국의 힘만으로는 안 될 것 같아서 지자체, 구청과 시와 이렇게 함께해서 중국에서 오는 유학생과 또 중국을 방문하고 온 유학생들을 전부 2주 정도는 일단 격리해서 안전을 확인하고 다시 돌려보낼 수 있도록 그런 시설들을 확보하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박 시장에게 “시장님은 메르스 사태도 경험하셨다”며 “지금 지자체와 중앙정부 간의 협력 체계, 또는 민관 간의 협력 체계가 지금 잘되고 있나”고 물었다. 박 시장은 “학습효과가 있기 때문에, 훨씬 더 잘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중앙정부가 저희들이 제안하면 일단 대체로는 다 받아들이는 그런 관계이기 때문에 과거하고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방역 활동에 대한 인력 수급 문제도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하루아침에 끝날 일 같으면 지금 인원 가지고도 좀 더 이렇게 고생하면 되는데, 이게 언제까지 갈지 알 수 없으니까 약간 장기적인 인력에 대한 수급 체계 또는 보완 체계가 되어야 할 것 같다”며 “감염도 중요하지만, 감염 방역 활동을 하는 분들이 먼저 과로로 쓰러질까 그런 걱정이 된다”고 했다.
한편, 청와대는 상황실장 주재로 신종 코로나 대책 회의를 진행하는 한편, 경제수석 주재로 신종 코로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회의를 운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