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을 막기 위해 대학에 개강 연기를 권고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오는 5일 오후 대학 관계자들과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4일 밝혔다. 대학가에서는 7만명이 넘는 중국인 유학생의 입국을 앞두고 신종 코로나 확산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다만 교육부는 모든 대학에 개강 연기를 강제하지는 않고 자율적으로 개강 연기 여부와 기간을 정하도록 했다. 대학마다 중국인 유학생 비율이 다른데다 대학별 상황에 맞춰 연기 기간을 정하는 게 운영 차원에서 더 효율적이라는 판단이다.
5일 회의에서는 국내로 들어오지 못한 중국 유학생들에게 온라인 강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제 완화 방안도 논의될 예정이다.
교육부 발표 전 일부 대학들은 이미 자체적으로 개강 연기를 확정했다. 서강대와 중앙대는 2주일, 경희대는 1주일씩 개강을 미뤘다.
앞서 4일 한국대학교수협의회(한교협)는 신종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대학 개강을 전면 연기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대학가와는 달리 초·중·고교는 다음 달 1일 정상적으로 개학할 전망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초·중·고는 중국 출신이거나 중국을 다녀온 학생·교직원이 많지 않다”면서 “개학 연기까지는 현재 단계에서 필요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교육부는 초·중·고교가 2월에 며칠 남아있는 2019학년도 수업 일수는 일부 감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신종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한 지역의 학교, 2·3차 감염 지역 및 능동감시 대상자가 발생한 지역의 학교, 확진자 이동 동선에 따라 지역 감염이 우려되는 학교 등은 교육 당국과 협의를 거쳐 휴업할 수 있다. 중국인 학생 및 최근 중국을 다녀온 학생이 모두 합쳐 전체 학생의 30% 이상인 학교도 휴업할 수 있다.
교육부는 휴업하는 학교는 저소득층 학생 급식 지원, 방과후 학교 및 돌봄교실 운영, 수업 결손 보충계획 수립 등을 철저히 해달라고 일선 학교에 안내했다.
김영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