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예천 통합론’, 가능성은 얼마나?

입력 2020-02-04 15:05
올 들어 대구·경북 행정 통합론이 공론화되고 있는 가운데 경북도청 신도시가 들어선 안동·예천 통합론도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사진은 경북도청 신도시 전경. 경북도 제공

“경북도청 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안동과 예천의 통합은 가능할까?”

새해 들어 대구·경북 행정 통합론이 공론화되고 있는 가운데 경북도청 신도시가 들어선 안동·예천 통합론도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올라 관심을 모은다.

경북도의회 김대일 의원(안동·자유한국당)은 지난달 29일 열린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도청신도시의 안동·예천 행정 이원화에 따른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김 의원은 “도청 이전으로 기대한 경북 북부권의 균형발전은 고사하고 주변 상권과 인구를 빨아들이고 있는 도청신도시와 구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주변 시·군은 매우 힘든 상황”이라며 “신도시 또한 행정구역 이원화에 따른 불편과 신도시의 정체성 혼란 등 해결해야 할 현안이 선적해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도청신도시를 중심으로 안동시와 예천군의 행정 이원화와 구도심 공동화 문제 등 신도시 조성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 해결에 경북도가 적극 나서 줄 것”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또 “이철우 지사는 도청신도시를 중심으로 안동과 예천의 행정이원화와 구도심 공동화 문제 등 신도시로 인해 발생하는 두 시군의 문제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북부권 발전에 필수 기반시설이 될 통합신공항 이전도 주민투표를 진행한 만큼 다른 시·도에 주도권을 뺏기지 않도록 모든 역량을 발휘해 이를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북도의회 김대일 의원이 지난달 29일 열린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도청신도시의 안동·예천 행정 이원화에 따른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경북도의회 제공

4.15 총선을 앞둔 지역 정치권에서도 안동·예천 통합론이 대세다.
더불어민주당 이삼걸 예비후보는 지난해 말 안동·예천 통합을 주요 공약으로 제시했다.
이 예비후보는 “경북도청을 유치해 놓고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유동인구는 줄고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는 등 안동 경제가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며 “경북도청을 공동 유치한 안동과 예천을 하나로 통합해 인구 50만명의 자립 가능도시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무소속 권오을 예비후보도 지난달 21일 기자회견을 갖고 안동·예천 행정통합을 위해 현재 진행 중인 국회의원 선거구 조정에서 안동·예천 통합 추진을 제안했다.
권 예비후보는 “도청 소재지 주소가 이원화돼 있어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며 “안동·예천을 통합해 경북 북부지역의 균형발전을 견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유한국당 권택기 예비후보도 안동·예천 선거구 통합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권 예비후보는 “안동과 예천은 행정구역은 다르지만 하나의 생활문화권으로 공유하고 있는 만큼 통합 선거구로 당선된 국회의원이 통합을 중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016년 3월 신도시에서 개청식을 가진 경북도청은 올해로 이전 5년째를 맞고 있다.
그동안 안동·예천 통합론이 꾸준히 제기됐지만 주민 반발 등 이런저런 이유로 이내 흐지부지됐다. 지난해에는 ‘경북도청 신도시 발전협의회’가 구성돼 “행정 이원화가 신도시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는 점에는 공감대를 이뤘지만 안동·예천 통합론에 불을 지피지는 못했다.

경북도청 관계자는 “4.15 총선을 앞두고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는 안동·예천 통합론이 첫 단추를 제대로 끼우기 위해서는 양쪽 주민들 간 공감대 형성부터 이뤄져야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