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일 정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신종 코로나) 대응책을 두고 “이런 종류의 일은 좀 더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며 아쉬운 소리를 내놨다. 정부가 전날 발표한 ‘후베이성 체류 외국인의 입국금지’ 조치를 지지한다면서 내놓은 이 대표의 발언은 여러 해석을 촉발했다. 당정간 소통 엇박자 아니냐는 관측에 민주당은 “소통 문제는 없었다”며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이 대표는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의 입국금지 조치를 언급하며 “이런 종류의 일은 좀 더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 국민과 소통하는 일은 정당에 강점이 있는 만큼 가능한 이른 시기에 당정 간 고위당정협의를 갖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당정 간 (신종 코로나 대응책에) 소통 문제가 있었던 게 아니냐”거나 “총리가 바뀐 뒤 정부가 국회를 패싱한 것 아니냐” 등의 목소리가 나왔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 대표의 발언이) 당정 간 소통 문제를 지적한 것은 아니다”라며 확대해석에 선을 그었다.
코로나 사태와 관련해 민심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했던 집권 여당이 전날 정부의 결정으로 머쓱해진 상황에서 서둘러 당 정책위원회 등의 적극적인 대처를 주문한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민주당은 지난 주말까지 ‘중국인 입국금지’와 같은 강경책에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설훈 최고위원은 지난달 31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중국인) 전면 입국금지는 현실성도 떨어지고 방역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라며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확진 환자 수가 늘어나고 국민의 공포감이 커지면서 당내 기류도 달라질 수 밖에 없었다는 후문이다. 자칫 미온적 대처로 상황이 악화되면서 총선에서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는 이날 ‘국민과 소통하는 일은 정당에 강점이 있다’면서 구체적이고 세밀한 대응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 대표는 “출퇴근 등 대중교통 이용이 많고 다중시설에 많이 노출되는 20대, 30대 청년들이 특히 불안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데이트 폭력 의혹으로 낙마한 인재영입 2호 원종건씨 사태에 이어 코로나 사태까지 겹치면서 20~30대 청년들의 민심 이반이 커지고 있다. 그런 만큼 청년들을 겨냥한 대책 마련을 구체적으로 주문한 셈이다. 당 관계자는 “정책위가 총선을 앞두고 선거 공약에 집중하고 있는데, 현재 벌어지고 있는 시국에 잘 대처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며 “당 정책위가 정부 부처에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협력하라는 뜻이 숨어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5일 국회에서 고위당정청협의회를 열고 신종 코로나 사태 관련 방역 대책 및 경제 분야 피해 최소화 대책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