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중국 공장이 멈추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가 직격탄을 맞을 위기에 처했다.
중국에서 부품 공급이 끊어지면서 자동차 생산 라인이 멈출 것으로 우려된다.
3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조립공장 전체에서 배선 뭉치로 불리는 ‘와이어링 하니스’ 재고가 바닥나고 있다.
와이어링 하니스는 자동차 조립 초기 공정에 설치하는 부품으로, 차량 바닥에 모세혈관처럼 배선을 깔아야 그 위에 다른 부품을 얹어 조립할 수 있다.
쌍용차는 와이어링 하니스를 공급받는 레오니와이어링시스템코리아의 중국 옌타이(烟台) 공장이 9일까지 가동 중단을 연장하면서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자 4∼12일 1주일간 평택공장 문을 닫기로 했다.
중국 정부가 신종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춘제 연휴를 이달 2일까지로 늘린 데 이어 각 지방정부가 기업 연휴를 9일까지로 더 연장하면서 벌어진 사태다.
같은 이유로 현대차는 지난 주말 예정했던 울산공장의 팰리세이드 라인 특근을 취소했고, 기아차도 화성공장과 광주공장에서 차량 생산 감축을 실시하는 등 생산 속도 조절에 들어갔다.
현대·기아차의 경우 와이어링 하니스를 납품하는 유라코퍼레이션, 경신, 티에이치엔(THN) 등 1차 협력업체의 중국 공장이 생산 차질을 빚게 되자 선제 조치에 나섰다.
국내 자동차 업체들의 와이어링 하니스 재고 보유량은 약 1주일 치 분량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현대·기아차도 일부 차종에서 이미 와이어링 하니스 재고 부족이 시작됐으며 이번 주 중 상당수 차종이 재고 부족에 직면하게 돼 전체적으로 생산 라인 중단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GM도 지난 주말 국내공장에서 예정했던 특근을 모두 취소했다. 한국GM 측은 “와이어링 하니스 문제 때문만은 아니지만, 생산속도 조절이 필요해 취한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와이어링 하니스뿐 아니라 다른 제품들도 중국의 연휴 연장에 따른 공급 차질을 우려하고 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