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암매장 발굴 앞서 철저한 사전조사 필요성 제기

입력 2020-02-03 12:04 수정 2020-02-03 14:00

5·18 민주화운동 행방불명자를 찾기 위한 옛 광주교도소 추가 유해발굴이 성과 없이 마무리되자 향후 철저한 사전조사가 선행돼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다.
3일 광주시와 5·18기념재단 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신원을 알 수 없는 유골이 무더기 발견된 것을 계기로 옛 광주교도소 경비교도대 북쪽 부지 2888㎡에서 추가 발굴작업을 벌였다. 하지만 문화재 출토 방식의 정밀 발굴에도 불구하고 행불자 유골이나 유류품 등 아무런 흔적을 찾지 못했다.
기념재단과 발굴작업을 실무적으로 주도한 대한문화재연구은 지난 1일 굴삭기 등을 동원한 5일간의 작업을 모두 마쳤다고 밝혔다. 7곳으로 구분한 발굴대상지 잡초제거와 50㎝ 정도의 표토층을 걷어내는 기초 작업을 제외하면 실질적 발굴작업은 30~31일 양일간 이뤄졌다. 마지막 날은 흙더미를 원상복구했다.
앞서 기념재단과 연구원은 2017년 11월부터 2018년 1월까지 광주~화순 간 너릿재터널 인근도로, 옛 전투병과교육사령부 주둔 부지 인근 광주천변 등에서도 4차에 걸친 발굴작업을 실시했지만 구덩이 흔적 등은 찾지 못했다. 5월 단체와 제보자 등이 유력한 암매장지로 꼽았지만 역시 뚜렷한 성과는 없었다.
이에 따라 유해발굴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공신력을 고려해 철저한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신중한 추가발굴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정치권의 조사위원 자격시비 등으로 1년3개월여 만인 지난해 말 뒤늦게 출범한 5·18진상규명조사위는 옛 광주교도소를 포함한 다수의 행불자 암매장 추정지에 대한 발굴작업을 전방위적으로 다시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5·18기념재단은 이와관련, 5·18 직후 집권한 신군부가 5·18민주화운동 기간 옛 광주교도소 등에 암매장한 다수의 유해를 다른 곳으로 옮기고 관련기록을 경비교도대와 군부대 등을 통해 모두 폐기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설명했다. 실제 1971년 문흥동으로 이전한 광주교도소에는 신군부 집권 시기인 1981년 4월 ‘교정시설 경비교도대 설치법’ 제정에 따라 같은 해 10월 경비교도대가 발족됐다. 대한문화재연구원은 이번 발굴작업의 결과보고서를 작성해 5·18기념재단측에 제출하고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오는 6일 1차 감식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시민 김모(61)씨는 “광활한 교도소 부지와 40년의 세월이 흐른 점을 고려할 때 유해발굴이 쉽지 않다는 것은 충분히 공감하지만 발굴착수에 앞서 그만큼 철저하고 면밀한 사전준비와 논의도 필요하다”며 “암매장이나 행불자를 왜곡하고 폄훼하는 5·18 가짜뉴스가 생산되는 빌미가 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