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신종코로나 ‘방역·경제’ 비상대응

입력 2020-02-03 11:34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2019-nCoV·우한 폐렴) 비상 대응 체제를 확대하는 한편, 지역경제 피해 최소화에도 총력 대응하기로 했다.

시는 3일 오거돈 시장과 구청장·군수, 시청 실·국장 등이 참여하는 비상대책 회의를 개최하고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비상 대응 체제를 확대하기로 했다.

비상 대응 체제는 ‘재난안전대책본부’가 방역을 책임지고, ‘비상경제대책본부’를 중심으로 지역경제 충격을 최소화하는 투 트랙으로 구성됐다.

오 시장이 두 본부의 본부장을 맡고 방역 분야 실무는 행정부시장이, 경제 분야는 경제부시장이 전담한다.

재난안전대책본부는 경찰과 소방 등 유관기관과 함께 행정 총괄지원반, 감염병관리반, 격리지원반, 의료지원반, 방역지원반, 취약계층과 외국인 지원반 등 10개 반으로 구성됐다.

시는 특별교부세 또는 재난관리기금을 신속히 투입해 열감지기, 이동형 방사선 촬영기, 살균 소독장비 등 방역 장비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와는 별도로 재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마스크는 4일부터, 손 소독제는 12일부터 순차적으로 보급할 계획이다.

많은 사람이 모이는 축제나 행사는 방역 대책을 철저히 세워 감염을 방지할 예정이다. 감염증 확산 상황이 심각해지면 행사 취소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비상경제대책본부는 총괄지원반, 수출입지원반, 관광지원반, 항만·물류지원반, 민생안정지원반, 대학협력반 등으로 구성됐다. 경제 대책본부에는 40여 개 기관이 참가해 6개 반을 꾸렸다.

오 시장을 본부장으로, 오는 4일 민관 합동 ‘제1차 비상 경제 대책 회의’를 연다. 부산상공회의소에서 지역 경제 유관 기관장들과 함께 지역 경제 동향과 신종코로나 피해 기업의 상황을 살펴보고 지원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오 시장은 “부산에 아직 확진자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비상 대응 체계를 선제적으로 가동해 지역경제와 시민사회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