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최고 수준 준한 대책”… 전문가들은 “여전히 미흡”

입력 2020-02-02 23:5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물안경을 착용한 중국 입국 여행자가 29일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에서 전수 발열검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2일 중국 후베이성 방문 외국인의 한국 입국 전면 금지 대책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신종 코로나) 대응책의 감염병 위기단계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에 준한 대책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여전히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이미 신종 코로나가 중국 전역으로 퍼진 상황에 후베이성 입국자만 막는 건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대한감염학회 등은 입국자를 제한하는 위험지역을 후베이성 외에 중국 전 지역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한감염학회와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대한항균요법학회는 “위험지역 입국자에 대한 제한이 필요하다”며 “(감염) 사례 40%는 후베이성 이외 중국 지역이므로 후베이성 제한만으로는 부족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초기에 아주 경미한 증상이나 무증상 상태에서도 감염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며 “정부가 모든 중국발 입국자들(2주 이내 중국 거주자 포함)을 대상으로 2주간의 자발적인 자가격리를 권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학회는 또 확진자나 의심환자를 격리해 치료하는 ‘국가 중앙 감염병 전문병원’ 확충과 확진자 방문 등으로 폐쇄한 의료기관 등에 대한 보상책 마련, 콜센터와 보건소 관리능력 강화 등을 촉구했다.

최재욱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도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후베이성을 거친 외국인 입국 금지 조치는 대단히 부족하고 생색내기에 그친 조치”라며 “이미 후베이성이 봉쇄된 상태이고 신종 코로나가 중국 전역으로 확산된 상황으로, 중국 전역의 외국인 입국 제한이나 국내외 국적 항공사의 운행 제한·중단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또 “중국 전역으로부터 외국인 입국 제한이나 국내외 국적 항공사의 운행 제한 혹은 중단이 이뤄져야 한다”며 “하다못해 감염자가 많고 감염 위험이 높은 중국 5개 지역(우한, 항저우, 광저우, 정저우, 창사)부터라도 전격 시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한의사협회도 지난 1일 대국민 담화에서 “감염자가 많고 감염 위험이 큰 중국 5개 지역의 입국 제한과 항공 운항 제한 또는 중단을 권고한다”고 했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