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우한 총영사관 철수계획 없다”… 잔류교민 120여명

입력 2020-02-02 16:42
2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노홍인 중앙사고수습본부 총괄책임관이 '우한 교민' 임시생활시설 지원 및 상황 등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진원지인 우한 등 중국 후베이성 일대에 한국 교민과 가족 120여명이 잔류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이들에 대한 지원 대책을 고민하고 있다. 잔류한 이들 대부분은 한국민이지만 일부는 중국 국적을 가진 배우자 등이다.

후베이성 한인회가 진행한 전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일 오전 0시 기준으로 우한에 머무르는 한국인이 85명으로 가장 많았고, 나머지는 우한시 바깥의 외곽 도시에 머무르고 있다. 이 중 5세 미만 영유아가 15명, 6~13세 어린이가 9명이었다. 임산부는 2명이 있다.

앞서 정부는 두 차례에 걸쳐 전세기를 투입해 우한과 우한 인근에 고립돼있던 교민 700여 명을 귀국시켰다.

정부는 앞으로 현지 상황을 면밀하게 주시하면서 추가 항공편 투입 여부와 물품 지원방안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2일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외교부에서 (우한) 교민들 의견을 듣고 있는데 아직은 추가로 입국을 신청한 부분들이 정리되지 않은 것 같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잔류를 택한 교민과 가족들이 분유·마스크, 소독제 등의 지원을 희망하고 있는 것에 대해 “상황을 추가로 파악해야 한다”면서도 “당연히 지원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한 총영사관 철수 계획은 아직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외교부 당국자는 “우한에 아직 우리 교민들이 남아있다. 그분들은 유학생이나 일시적으로 생활하는 그런 분들이 아니라 생업이 있어서 남아있는 분들이 대부분”이라며 “그분들은 지원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영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