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안에 따라 지난해 말부터 문을 닫은 러시아의 북한식당이 최근 영업을 재개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노동자가 아닌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해 영업 방식을 바꿨지만, 북한 관계자가 업소에 빈번이 출입하는 등 경영에 관여했다는 의혹이 나와 북한의 외화벌이 수단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일본 NHK방송은 2일 러시아 모스크바의 한 북한식당이 1일 영업을 재개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에 따라 지난해 말부터 영업을 중단한 지 약 1달 보름 만이다.
앞서 유엔 안보리는 2017년 북한의 핵실험이 잇따르자 자금줄을 옥죄기위해 유엔 193개 회원국 내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를 2019년 12월 22일까지 본국에 송환하도록 의무화하는 대북제재 결의안(2397호)을 채택했다. 북한 노동자들이 해외에서 벌어들이는 외화(연간 약 6000억원)가 북한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연구·개발에 악용된다는 것이다.
NHK는 복수 관계자를 인용해 해당 북한 식당의 메뉴는 같지만, 종업원은 북한 여성을 대신해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등 출신 여성들이 맡았다고 전했다. 요리도 러시아 국적 남성들이 대신하는 등 북한인은 일을 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다만 NHK는 “이 식당에는 최근 모스크바에 있는 북한 대사관 관계자가 빈번하게 출입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북한은 레스토랑의 형태만 바꿨을 뿐 경영에 관여해 외화 획득 수단은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또 “러시아 정부는 유엔 대북제재 결의안에 따라 북한 노동자 송환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관광과 학생비자로 체류하는 사람도 많을 것으로 보여 일부는 계속 노동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러시아가 흑해 인근의 자치공과국 압하지야를 지원해 북한 노동자들의 외화벌이를 지원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온 바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러시아가 사실상 자국의 통제 하에 있는 압하지야가 유엔에 가입되지 못한 자치공화국이라는 허점을 이용해 북한의 신뢰를 얻을 뿐만 아니라, 유엔 대북제재를 피해 북한 노동자를 활용했다고 전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