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일본 정부가 중국 체류 외국인의 자국 입국을 금지한 가운데 한국 정부도 중국 체류 외국인의 국내 입국 금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이 조치는 국제보건기구(WHO)가 권고하지 않은 만큼 여러 사안을 검토해야 한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1일 기자회견을 열고 “중국 체류 외국인의 국내 입국 금지를 내부적으로 검토하겠다”며 이날 밝혔다.
김강립 중수본 본부장(보건복지부 차관)은 1일 “중국발 비행기 입국 금지 등은 아직 구체적으로 말할 단계는 아니다”라면서도 “신종 코로나에 대한 위험 평가를 통해 검토를 해야 하고, 질병관리본부뿐만 아니라 민간 전문가, 각 부처 등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수본 윤태호 총괄단장도 “최근 미국과 일본, 이탈리아 등에서 중국이나 후베이성에서 입국한 외국인의 입국을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조치가 나오고 있다”며 “정부도 국제사회의 대응을 지속적으로 파악해 방역상 필요성을 판단해 대응하겠다”고 했다. 이는 정부가 중국 체류 외국인에 대한 ‘국내 입국 금지 조치’ 검토를 시사한 대목이다.
앞서 미국 보건복지부는 14일 이내에 중국을 다녀온 외국인에 대한 미국 입국을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이 조치는 미국 동부시간 기준으로 오는 2월2일 오후 5시부터 발효된다. 일본도 마찬가지로 2주 내 중국 후베이성에 체류한 모든 외국인의 입국을 이날부터 원칙적으로 거부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미국과 일본, 이탈리아 등에서 입국 금지라는 고강도 방역조치가 나오면서 우리 정보도 검토에 나선 것이다. 다만 정부는 WHO의 지침도 참고해 정부 부처와 내부적 검토, 논의가 필요한 사안이라는 점에서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