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마스크 300만장 중국 지원’ 방침을 놓고 정치권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앞서 외교부는 지난 30일 우한 지역에 마스크 200만장, 의료용 마스크 100만장, 방호복·보호경 각 10만개 등 의료 물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우한에 인접한 충칭시 등에도 30만달러(약 3억5600만원) 상당의 지원품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자유한국당 김성원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파는 마스크를 중국인들이 사재기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연일 나온다. 우리 국민은 마스크와 손 세정제를 구할 수 없어서 난리”라며 “의료물품의 약국 납품가가 두 배 넘게 급등했는가 하면 인터넷 쇼핑업체에서도 물품이 없다면서 연일 주문취소 통보 문자를 발송하고 있는 형국”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김한표 원내수석부대표도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주당은 도쿄올림픽은 방사능이 염려돼 보이콧 하자더니 우한 폐렴에는 국민의 혐오성 발언을 자제해야 한다고 연일 이야기하고 있다. 웃기는 이야기”라고 거들었다.
반면 새로운보수당은 다른 입장을 냈다. 새보수당 소속 구상찬 전 의원은 당 대표단 회의에서 “신종코로나 사태는 중국이 진정이 되는 게 한국이 진정되는 것으로 이어진다. 정부가 인도적 차원에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추가 지원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정부의 중국 마스크 지원에 대한 정치권의 갑론을박이 이어지자 박원순 시장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마스크가 부족하지 않게 충분히 공급하도록 하겠다”며 “어린이집, 경로당, 버스 운전자들까지 다 공급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는 앞서 지난 28일 “어려울 때 친구가 진짜 친구다. 중국은 오랜 세월을 함께 돕고 살아가야 할 친구”라며 “중국 정부를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해달라”고 밝힌 바 있다.
송혜수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