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갈수록 확산함에 따라 실체 없는 소문들이 곳곳에서 이어져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다.
30일 보건당국에 따르면 전날 낮 12시55분쯤 경기 평택보건소를 방문한 중국 교포 A(49)씨가 휠체어에서 갑자기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사망했다. A씨는 가족들과 수년째 한국에 거주하고 있고, 최근 6개월 내 중국에 방문하지도 않았다. 질병관리본부 검사 결과에서도 A씨는 신종 코로나와 무관한 것으로 밝혀졌다.
A씨는 열흘 전 동료들과 재미 삼아 씨름을 하다가 갈비뼈가 골절되는 사고를 겪었다. 사고로 인한 통증이 좀처럼 줄어들지 않자 전날 평택의 한 병원을 찾았다. 병원 측은 A씨의 입원을 권유했지만 A씨는 이를 거부했다. 이후 A씨가 찾은 또 다른 병원의 의료진은 A씨가 중국 교포라는 점을 들어 신종 코로나를 우려해 보건소로 안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소식이 전해졌지만 인터넷 공간에서는 A씨의 신종 코로나 감염을 의심하는 글들이 속출했다. A씨의 사망 소식을 보도한 한 기사에는 ‘보건소에서 급사할 확률이 몇 퍼센트나 될까’ ‘신종 코로나 첫 사망자를 감추려는 것 아니냐’ ‘갑자기 쓰러져 사망하는 게 신종 코로나 증상 아닌가’ 등의 댓글이 올라왔다.
최근 경기 군포의 한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중국 북경대와 상하이대 등으로 현장 체험학습을 다녀온 소식 역시 비판에 휩싸였다.
이들의 체험학습은 국내에 첫 확진자가 나오기 전이자 감염병 위기 경보 단계가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되기 전인 지난 14~17일 이뤄졌다. 체험학습을 다녀온 교사와 학생들에게서도 별다른 이상 증세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학교 관계자는 “학부모의 동의를 구했고 학교 운영위의 심의를 거쳐 다녀온 것이며 당시에는 신종 코로나가 문제가 되지 않았다”며 “이미 다녀온 지 2주가 지나 잠복기도 31일로 끝난다”고 밝혔다.
SNS에서도 신종 코로나에 대한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글들이 등장하고 있다. 지난 29일에는 경기도 평택 서정리역 근처 상황이라며 감염방지복을 입은 구급대원이 한 남성을 살펴보는 사진이 SNS에 올라왔다. 사진에는 ‘서정리역 근처에 이거 신종 코로나 때문에 쓰러진 건가요?’라는 글이 달렸고, 이를 우려하는 댓글이 잇따랐다.
현재 소방당국은 신종 코로나 확산과 감염을 막기 위해 구조 활동 시 대원들에게 감염 방지복을 입도록 조치하고 있다.
김영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