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이 외국인 학생이 많은 구로·금천·영등포구에 ‘다문화 자율학교’를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 지역 다문화 학생들의 적응을 돕기 위해 이중언어교실 운영과 한국어 교육도 더 강화하기로 했다.
시교육청은 30일 남부 3구(금천·구로·영등포구)를 대상으로 하는 ‘서울 학생 동반성장 통합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시교육청은 2024년까지 3개구와 함께 총 105개 단위사업을 추진해 다문화 학생 밀집지역에서 나타나는 학력저하 등의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방침이다.
시교육청은 다문화 학생 비율이 30% 이상인 학교가 희망할 경우 ‘다문화 자율학교’로 지정하기로 했다. 자율학교는 다문화의 특성과 강점을 살린 차별화된 교육을 통해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 게 목표다. 기존 교육과정을 벗어나 새로운 교과를 편성할 수 있는 운영의 자율성이 부여된다. 이와 별개로 내년에는 5곳 내외의 ‘다문화 혁신학교’도 지정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자율학교는 혁신학교보다 조금 더 자율성이 부여된 개념”이라며 “다문화 학교는 교과 간 융합을 통해 자체적으로 다문화 감수성을 높이는 교육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중언어교실 운영도 강화된다. 시교육청은 다문화언어 강사를 활용한 정규수업과 한국어특별과정(KSL), 방과후 수업 등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서울 내 다문화언어 및 이중언어교실 강사는 132명인데 2024년까지 최소 12명 이상을 늘릴 계획이다.
다문화 학생의 공교육 진입, 학교 적응력 강화를 위한 한국어 특별 과정도 운영된다. 거점형 다문화교육지원센터(다온센터)에 초단기(4~5일) 한국어·한국문화적응 집중 교육과정이 신규 개설된다. 오는 3월부터는 중도입국·외국인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집중교육을 하는 단기 위탁형 대안교육기관이 운영된다. 학생들은 이 기관에서 6개월간 집중교육을 받고, 출석을 인정받게 된다.
다문화 학생이 밀집한 학교의 교육여건도 개선된다. 시교육청은 다문화 학생 쏠림 현상을 막기 위해 중학교의 다문화특별학급 설치기준을 낮췄다. 기존에는 중도입국·외국인학생 비율이 15% 이상이었는데, 10% 이상으로 내려갔다. 이 요건을 충족하는 학교는 다문화 특별학급이 의무 지정된다. 또 다문화 학생이 밀집한 학교의 학급당 학생수 감축도 지속 추진된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서울 지역 다문화 학생은 총 1만7929명이다. 이중 27.1%(4858명)가 남부 3구(구로·금천·영등포구)에 몰려 있다. 국적별로는 중국·한국계 중국(51.1%), 베트남(15.8%), 일본(9.1%), 필리핀(6.4%), 몽골(3.2%) 순으로 많았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