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시장이 커지면서 관련 부품을 생산·공급하는 현대모비스의 경영실적이 꾸준히 상승세를 타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30일 전자공시를 통해 지난해 매출액 38조488억원, 영업이익 2조3593억원, 당기순이익 2조294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대비 매출은 8.2%,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6.5%, 21.5% 늘어난 수치다.
현대모비스의 실적은 전동화 부품 매출 증가와 글로벌 완성차 업체를 대상으로 한 수출 확대가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신차 모듈공급을 위해 1년간 일시 생산라인 정비에 들어갔던 북미 오하이오 공장이 지난해 1분기 말부터 재가동에 들어간 것도 영향을 미쳤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전동화부품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현대모비스의 전동화부품 매출은 지난 2017년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2018년에 1조8000억원, 지난해에는 2조8000억원을 달성하는 등 매년 50% 이상 성장하고 있다.
더불어 올해 글로벌 완성차 대상 수주 목표는 27억3000만 달러로 설정하고 유럽지역 등의 프리미엄 브랜드를 적극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현대모비스는 현대·기아차를 제외한 글로벌 완성차를 대상으로 수출을 확대해 지난해 총 17억6000만 달러의 핵심부품을 수주했다. 특히 북미 시장에서 10억4000만 달러의 수주성과를 올렸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전동화부품 공급을 위해 올해 유럽 핵심 생산거점인 체코와 슬로바키아에 배터리 조립라인 가동을 시작했으며 배터리 일체형 부품(BSA) 생산에 나선다”면서 “주요 부품의 제품경쟁력을 강화해 글로벌 고객사에 차별화된 로드쇼와 프로모션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