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9일 중국 우한에 거주 중인 교민들의 격리 장소로 충북 진천군·충남 아산시를 확정하자 지자체들이 깊은 유감을 표명하고 나섰다.
김장회 충북도 행정부지사는 이날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산과 관련해 중국 우한 교민의 임시생활시설을 당초 천안으로 결정했다가, 천안시민이 반대한다는 이유로 진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으로 변경한 것에 대해 심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부지사는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은 충북혁신도시 한복판에 있으며 이미 3만이 넘는 인구와 9개의 초·중·고교가 밀집한 지역”이라며 “전염병의 주민전파 가능성이 매우 높아 임시 생활시설로 부적합하다고 생각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시 생활시설을 충북으로 선정해야 될 경우 164만 충북도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주길 바란다”며 “도와 시·군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도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철저한 준비와 대응에 총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정부의 이번 결정이 국가의 책무라는 점은 이해하지만, 희생을 감내해야 할 아산시민들에게는 도지사로서 송구스럽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양 지사는 “정부의 이번 결정은 국민을 보호해야 할 책무를 지닌 국가로서 내려야 할 조치라고 생각한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재난 앞에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 아산시민 여러분께 도지사로서 송구스러운 마음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국가적 위기 상황 앞에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따로 있을 수 없다는 것 또한 우리 충남도의 생각”이라며 “도민 여러분의 우려와 염려가 크시겠지만, 정부와 방역당국을 믿고 더 큰 마음으로 힘을 모으고 신속하게 대응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2015년 메르스가 발생했을 때 우리 충남은 감염병 차단을 선도하는 지방정부로서 그 역할과 소임을 다해냈다”며 “충남도정을 믿고 정부의 이번 결정에 적극 동참해주시길 간곡하게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 도는 지난 20일 지역방역대책반을 구성했고, 현재 이 대책반을 6개 팀 51명으로 확대·개편했다”며 “도에서는 이 대책반을 중심으로 임시생활시설이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혼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앞서 송기섭 진천군수 역시 기자회견을 통해 “대승적 차원에서 우한 교민을 수용하는 게 맞다”면서도 “(충남)천안에서 반발하니까 진천으로 변경하면 주민들이 선뜻 수용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오세현 아산시장도 자신의 SNS에 올린 글을 통해 “정치적 논리와 힘의 논리에 밀려 아산으로 결정됐다는 점이 아산시민들의 상실감을 부채질하고 있다”며 “우한 교민 임시 수용시설 아산 설치에 대해 무조건적인 반대가 아니라, 합리적인 결정의 근거를 제시해 달라”고 요청했다.
청주·홍성=홍성헌 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