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신종 코로나) 차단을 ‘국가 존망’에 관한 문제로 규정하고 대(對)중국 무역과 중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을 전면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은 29일 북한과 중국 내 소식통을 인용해 대중국 무역 관련 및 중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 업무가 전날부터 중단됐다고 보도했다. 중국이 최대 무역국인 점을 감안하면 북한으로서는 초강수를 둔 것이다.
RFA에 따르면 평안북도의 한 소식통은 “지난 28일 중국 단둥의 대방(무역상)이 무역물자를 싣고 단둥 세관을 거쳐 신의주 세관에서 입국 수속을 하려고 했지만 우리측(신의주) 세관이 입국을 거부해 들어오지 못했다”며 “양국 세관이 아직 공식적으로 문을 닫은 것은 아니지만 조선(북한)측이 선제적으로 중국과의 무역을 차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에서 퍼지고 있는 무서운 전염병에 대처해 국경에서 화물 이동을 차단하라는 당국의 지시가 내려왔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선양의 소식통은 “지난 27일 심양(선양)에 주재하는 조선(북한)영사관에 ‘신종 코로나비루스(바이러스) 발생 관련하여 조선입출국 사증(비자)을 발급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공문이 붙었다”고 전했다.
이 소식에 대해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은 주민 생활에 필수적인 밀가루와 설탕, 식용유 등 생필품 상당수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며 “이 때문에 중국과의 무역을 일시적으로 중단할 수는 있지만 중단 조치가 오래가지는 못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노동신문은 이날 ‘신형 코로나비루스감염증(신종 코로나)을 철저히 막자면’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철저한 방역을 거듭 강조했다. 신문은 “모든 당 조직들에서는 감염증의 전파를 막기 위한 사업을 국가 존망과 관련된 중대한 정치적 문제로 여기고 정치 사업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각급 비상방역지휘부들과 위생방역기관, 치료예방기관, 의학연구기관들에서 진행하는 주민들에 대한 의학적 감시와 진단, 치료약물 개발과 관련한 연구 등이 성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적극 떠밀어주어야 한다”고 했다.
신문은 또 “모든 사람들이 감염증과 위험성, 전파의 심각성에 대해 확고히 인식하고 철저히 막기 위한 사업에 한사람같이 떨쳐나서도록 해야 한다”며 주민들에게 외출 시 마스크 착용 습관화, 자주 손씻기, 신체 저항성 높이기, 식료품 위생 준수, 야생동물과의 접촉 피하기 등을 주문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